Use of a Land Classification System in Forest Stand Growth and Yield Prediction on the Cumberland Plateau of Tennessee, USA

미국(美國) 테네시주(州) 컴벌랜드 고원(高原)의 임분(林分) 성장(成長)과 수확(收穫) 예측(豫測)에 있어서 Land Classification System의 사용(使用)

  • Song, Unsoo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Chonbuk Nat. University) ;
  • Rennie, John C. (Department of Forestry, Wildlife and Fisherie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he University of Tennessee)
  • 성은숙 (전북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Received : 1997.06.18
  • Published : 1997.09.30

Abstract

Much of the Cumberland Plateau of Tennessee, USA is in mixed hardwoods for which there are no applicable growth and yield predictors. Use of site index as a variable in growth and yield prediction models is limited in most stands because their history is not known and many may not be even-aged. Landtypes may offer an alternative to site index for these mixed stands because they were designed to include land of about equal productivity. To determine vegetation by landtype, dependency between landtype and detailed forest type was tested with Chi-square. Differences in productivity among landtypes were tested by employing regression analyses and analysis of variance(ANOVA). Basal area growth was fitted to the nonlinear models developed by Moser and Hall(1969). Basal area growth and volume growth were also predicted as a function of initial total basal area and initial volume with linear regression by landtype and by landtype class. Differences in basal area growth and volume growth by landtype were tested with ANOVA. Dependency between site class and landtype was tested with Chi-square. Vegetation types seem to be related to landtypes in the study area although the validity of the test is questionable because of a high proportion of sparsely occupied cell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ductivity among landtypes were found in this study.

미국 테네시주 컴벌랜드 고원의 대부분은 혼합 침엽수림으로 되어 있어 기존의 성장과 산출 예측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그들의 역사가 알려져 있지 않을 뿐더러 많은 부분이 동령림이 아니기 때문에 성장과 수확 예측 모델을 만드는데 있어서 지위지수를 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다. 임지형(landtype)은 거의 같은 수확을 내는 임지를 포함하도록 고안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혼효림에서 지위지수 대산 사용될 수 있다. 임지형을 사용한 식생 결정을 위해, Chi-square로 임지형과 임형(forest type)과의 의존성을 검사하였다. 임지형 사이에서 수확의 유의성은 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검사되었다. 흉고단면적성장(basal area growth)은 Moser and Hall(l969)이 개발한 비선형 모델에 적용되었다. 또한 흉고단면적성장과 재적성장은, 임지형과 임지형급(landtype class)에 의한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최초 총 흉고단면적과 최초 재적에 관한 하나의 함수로서 예측되었다. 분산분석으로 임지형에 따른 흉고단면적성장과 재적성장의 유의성을 검사하였다. 지위급(site class)과 임지형의 유의성은 Chi-square로 검사되었다. 표본 강도가 낮아 검증이 의심스러웠음에도 불구하고, 식생형 (vegetation type)은 연구 지역 내 임지형과 관계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임지형 간의 수확은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