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Qualities of Commercial Anchovy Sauces and Kimchies Prepared with Different Anchovy Sauces

시판 멸치 액젓의 품질과 그 액젓으로 제조한 김치의 품질 연구

  • 문갑순 (인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송영선 (인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류복미 (인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전영수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7.08.01

Abstract

To evaluate the quality of commercial anchovy sauces, 8 varieties (2 products from the Fishery Cooperation, 2 from small companies, and 4 well-known brands) were chosen and thei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examined. The salinity of anchovy sauces ranged from 19.8% to 26%, where product E was the saltiest and followed by F> H > B > E > A> C = G > D. Product D with the least salinity was turbid, rancid, and high in ammonia content, suggest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quality of anchovy source with a low salt content. Protein content of anchovy sauces ranged from 2.51% to 2.64%. The unit price of anchovy source A was the highest, whereas B was the lowest. Sensory evaluation scores of anchovy sauces were in the order of B > G > A > F > E > C > H > D for color, B > G = C > H > E = F > G > D for odor, E > C > F > G > H > D > B > A for saltiness, and B > A > C > H > E = F > G > D for overall acceptability. Above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B was the best in quality as well as the cheapest among a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kimchies were prepared with product A, B, C with a high sensory quality and product H with a high market occupancy,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kimchi with product C got the highest sensory score in appearance and the one with product A and H in odor. Although the kimchi with product A generally had high scores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ure, salty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kimchies with different varieties of anchovy sauces.

시판 멸치액젓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협제품(A, B), 중소기업제품(C, D), 유명제품(E-H)을 선정하여 이화학적 분석과 경제성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멸치 액젓의 염도는 19.8~26.0% 범위였으며, F > H > B > E > A > C = G > D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19.8%의 염도를 나타낸 D 제품은 탁도가 높고 부패취가 강하였으며, 암노니아 함량이 매우 높아 일정 이하의 염도는 젓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제품들의 염도는 25% 전후를 나타내었다. 총 단백질 함량은 2.51~2.04% 범위였으며 A > C > B > F > E > D > G > H 순으로 높아 수협의 두 제품(A, B)과 중소업체 C제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갈색도는 C, A제품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판되는 멸치액젓의 가격을 1$\ell$로 환산한 결과 A 제품이 가장 비싸며, B 제품이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멸치액젓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B > G > A > F > E > C > H > D 순으로, 냄새는 B > G = C > F > A > E > H > D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짠맛은 I > C > F > G > H > D > B > A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나서 측정한 염도와 일치하지는 않았다. 전체적 인 맛은 B > A > C > H > E = F > G > D 순으로 점수가 높아 B 제품의 맛이 가장 좋고 D 제품이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우수하게 평가된 A, B, C제품과 시장 점유율이 높은 H 제품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여 숙성에 따른 pH, 산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숙성 전반에 걸쳐 다른 제품들에 비해 C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빨리 진행되었고,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에서 숙성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외관은 2주째 C 김치에서 유의적으로 좋았고, 냄새는 4주째 A, H 김치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나머지 항목들에서 멸치액젓 제품 사이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숙성 전반에 걸쳐 A 제품으로 제조한 김치가 다소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