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endence of Ethyl Carbamate Formation on the Fermentation Variables in Korean Traditional Soysauce

재래식 간장의 제조조건이 ethyl carbamate 생성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권훈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Ethyl carbamate is an animal carcinogen and a by-product of fermentation. Since the highest level of ethyl carbamate was found in a traditional soy sauce sample in the previous study, soysauce was prepared in varying experimental conditions with three kinds of meju originated from different area of the country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ethyl carbamate formation. The sample analysis methods included a semi-purification with solid-phase extraction and detection by GC-MS at SIM mode using m/z 62 fragment ion. Among the investigated factors, which includes source meju, bringing length, salt content,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during bringing or storage, and storage length, source meju and storage length showed most profound effect on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for 12 hours a day during storage lowered the concentration of ethyl carbamate compared to the soysauce kept in the dark. Meanwhile irradiation during the bringing as well as the degree of salt contents showed no effect.

본 연구에서는 식품내의 ethyl carbamate 전구체와 그 형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조조건 보다는 원료 메주가 간장의 ethyl carbamate 형성에 기여도가 크나, 같은 메주로 제조한 간장의 경우, 저장 기간에 따라 생성이 증가하며 빛에 의해 그 농도가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가정에서 간장을 담을 경우 전통적인 방법 인 빛을 쪼여 주며 보관하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원료 메주에 따른 차이는 원료 콩의 화학적 조성도 관여를 하겠으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의'종류와 그에 따른 대사과정, 대사량의 차이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들을 밝혀내기 위하여 앞으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