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ngsanri Tombs Using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

송산리 고분군의 지구물리학적 조사를 통한 고분축조방법 고찰

  • Suh, Mancheol (Dept. of Geoen 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gwhan (Dept. of Geoen ironmental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Gyeok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
  • Kim, Donghyu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 서만철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이창환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정계옥 (국립문화재연구소) ;
  • 김동현 (국립문화재연구소)
  • Published : 1997.09.01

Abstract

An integrated geophysical survey was conducted to study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onsanri tombs including the Muryong royal tomb. With the distribution of soil resistivity and self potential values, the boundary between original ground and the construction site was delineated clearly. The original ground has relatively high resistivity of $1,000\~1,500$ ohm-m and low self-potential values of $0{\pm}3mV/m$, while the construction site has low resistivity less than 200 ohm-m and quite high self-potential values of $-20\~30mV/m$. It is interpreted that the open site for construction of subsurface tomb has the size of about 35 m in the north-south direction. Big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of ground between the tomb site and the original site gives a clue fo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ombs in Baekje dynasty. The site was opened about 35 meter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and then a mold structure was constructed with a brick frame outside. The brick frame consists of bricks cemented each other and structually combined. The mold structure was removed from inside after refill of the opened construction site with some cemented rock debris and soil.

자력, 자연전위, 비저항 측정을 포함하는 지구물리탐사를 송산리고분군 지역에 적용한 결과 지하구조물의 위치, 고분축조 지반 및 원지반의 차이점 등에 대한 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얻을 수 있었다. 비저항의 분포로 확인된 기존 지반의 지역에서는 자연전위 값도 매우 낮다. 기존 지반의 경우 03 mv/m의 매우 낮은 전위차와 1000 1500 ohm-m의 상대적으로 높은 비저항치를 보이는 반면, 고분축조지역의 지반은 $-20\~30mV/m$의 큰 자연전위값과 200 ohm-m이내의 낮은 비저항을 보여 매우 대조적이다. 전기비저항 및 자연전위분포로 볼 때 백제시대 당시 고분축조를 위하여 절개했던 부분이 남북방향으로 약 35 m정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의 지반과 고분축조를 위해 굴착한 부분의 지반의 매질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은 고분축조가 동굴을 파서 그 내부에 축조했다기 보다는 전체 축조부지를 절개하여 평탄화한 후 모형을 만들어 축조한 후 그 후에 다시 파낸 암석부스러기 및 흙을 채워 원래 지형을 복원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그 후 모형을 내부로부터 제거하여 고분을 축조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