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g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ir Dispersion Model

지리정보체계와 대기확산의 통합

  • Kim, Myung-Jin (EIA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Han, Eui-Jung (EIA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ang, In-Goo (EIA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Jeong-Soo (Atmospheric Physic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Published : 1996.06.29

Abstra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n Korea has worked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cision making since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of 1981. In order to implement the EIA process effectively, we have developed a system for and various methods of EIA. Among these method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hich was introduced recently in Korea, can be used to integrate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 effectively. So GIS begins to increase the necessity of the application in EIA process. This study includes the integration method of the GIS and air dispersion model on the odor impact assessment of $NH_3$ emission in landfill sites. First, it computes surface values by grids us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Second, it presents predicted data considering topography and climate by grids. Third, it shows the overlaying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map including population and odor predictive data. The results could systematically analyze impact areas, and assess residential impact by alternatives. Integration analysis of the air predictive model and GIS as a residential area assessment can support negotiations of public and proponent in EIA.

환경영향평가는 1981년 환경영향평가서가 작성된 이후로 환경보전과 의사결정용 위한 수단으로 발전해 왔다. 환경영향평가 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과 기법개발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면자료와 속성자료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지리정보체계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지리정보체계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적용을 위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폐기물매립지에서 $NH_3$ 악취물질의 예측과 평가에 대하여 지리정보체계와 대기확산모델의 통합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로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하여 각 그리드별 고도를 추출하고 둘째, 이 고도자료와 기후, 오염원 자료를 확산모델에 입력하고 셋째, 통 리별 인구를 포함한 행정구역도와 악취예측자료의 중첩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이 결과들은 주거지역에 대한 영향평가와 영향지역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수 있고,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사업자와 주민의 환경분쟁의 협상시 지원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