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공단(沙上工團)의 대기오염(大氣汚染)이 주변(周邊) 산림(山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ir Pollu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Kim, Jeom Soo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
  • Lee, Kang Young (Dept. of Forestry, College of Agricultur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1995.04.21
  • 발행 : 1996.03.31

초록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이 사상공단(沙上工團) 주변(周邊)의 해송림(海松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 해송림(海松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단주변산림(工團周邊山林)의 상층(上層)은 주로 해송림(海松林)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사방오리나무와 아까시나무가 많은 조사지(調査地)에서 나타나고 있었고, 중층(中層)에서는 해송(海松) 다음으로 아까시나무, 개옻나무, 산검양옻나무, 때죽나무가 주로 나타났으며, 하층(下層)에서는 해송(海松)의 출현(出現)은 적었으며,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하여 내성(耐性)이 강한 아까시나무, 졸참나무, 개옻나무, 산철쭉 등(等)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출현(出現)되고 있었다. 특히 아까시나무는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 진달래는 공단(工團)으로 부터 먼 곳에서 중요치율(重要値率)이 높게 나타났다. 2. 공단(工團) 주변(周邊)의 각(各) 조사지(調査地)에서 목본류(木本類)의 종수(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와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는 대조구(對照區)와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초본류(草本類)에서는 대기오염(大氣汚染)에 대한 내성(耐性)이 강(强)한 주름조개풀이 전반적(全般的)으로 출현(出現)되고 있었으며, 참억새, 실새풀, 계요등, 기름새, 산거울 등(等)도 전반적(全般的)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이들은 적산우점도(積算優占度)의 값도 높았다. 그러나 참취, 분취, 미역취, 꿀풀 등(等)은 공단(工團) 주변(周邊)에서 거의 출현(出現)되지 않았다. 4. 초본류(草本類)의 종수(種數)는 대조구(對照區)의 20종(種)에 비(比)하여 공단주변(工團周邊)에서 10종이하(種以下)로 감소(減少)되었고, 종다양도(種多樣度)에서도 공단주변(工團周邊) 지역(地域)이 감소(減少) 되었으며,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 역시 대조구(對照區)와 비교(比較)하면 아주 낮게 나타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의한 초본류(草本類)의 종구성상태(種構成狀態)가 변화(變化)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보면 사상공단주변(沙上工團周邊)의 해송림(海松林)은 대기오염(大氣汚染)에 강한 수종(樹種)의 분포(分布)가 많았다. 식생구조(植生構造)의 변화(變化)는 목본류(木本類)에서는 아직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초본류(草本類)에서는 종수(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의 변화(變化)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목본류(木本類)에서도 앞으로 식생구조(植生構造)의 변화(變化)가 예상(豫想)되고 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the vinicity of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Korea. Forest vegetation structure was investigated at 19 sample plots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 and at one site away from industrial complex as a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For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upperstory of forests was mostly consisted of Pinus thunbergii, and partly of Alnus firma and Robinia pseudoacacia. In midstory, major components were Pinus thunbergii, Robinia pseudoacacia, Rhus trichocarpa, Rhus chinensis and Styrax japonica, In lower story, Pinus thunbergii was a minor component, while Robinia pseudoacacia, Quercus serrata, Rhus trichocarpa. and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which were known to be resistant to air pollution were found in large number. Especially, importance percentage of Robinia pseudoacacia was high, while that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was low in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 2. For woody plants, number of species, species diversity and similarity index in industrial compl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plot. 3. For herbs, Oplismenus undulatifolius appeared in large number in most plots. The $SDR_3$ of Miscanthus sinensis, Calamagrostis arundinacea, Paederia scandens, Spodiopogon cotulifer and Carex humilis were high, but that of Aster scaber, Saussurea seoulensis, 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 and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were low in the vicinity of industrial complex. 4. Number of herb species decreased to below 10 species at surrounding industrial complex as compared to 20 species in the control plot. In addition species diversity, and similarity index i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lower than those in control plot. It may be concluded that Pinus thunbergii forests in industrial complex consists of tree species resistant to air pollution, and that composition of woody vegetation in industrial complex was not much different from control plot, while composition of herbs was already quite different between the two plots. Forest vegetation structure, therefore, may change with time due to air pollution in the industrial complex.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