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四紀 後期 英陽盆地의 自然環境變化

The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 in Youngyang Basin, South Eastern Part of Korea Penninsula

  • 윤순옥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 ;
  • 조화룡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Yoon, Soon-Ock (Dept. of Geography,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 Kyung Hee University) ;
  • Jo, Wha-Ryong (Dept. of Geography, Teacher)
  • 발행 : 1996.09.01

초록

영양부근 반변천이 절단감입곡류를 하여 생신 구유로상에 약 7m 두께의 토탄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탄지를 대상으로 boring 자료분석과 화분분석을 실시하여 토탄지의 지형발달과 제4기 식생 및 기후환경변화를 검토하였다. 구유로상(연지와 원당지 일대)에 토탄지가 형성된 것은 주위산지에서 공급된 선상지성 퇴적물에 의해 구유로가 막혀 습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토탄층은 그 특징에 따라 하부층과 상부층으로 구분되며, 이들 사이에는 부정합관계가 있다. 탄소 연대측정자료, 각 화분분대 화분조성상의 특징, 토탄퇴적속도 등으로 볼 때, 하부토탄층은 대략 60,000년 BP경부터 퇴적되기 시작하여 만빙기까지, 상부토탄층은 완신세 중기경부터 거의 현재까지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boring지점 1(YY1)과 지점 2(YY2)의 토탄층 화분분석결과는 수목류의 우점시기로 대비할 때, 총 다섯개의 화분대(화분대 YYI, YYII, YYIII, YYIV와 YYV)와 12개의 아분대로 구분되었다. 두지점 간에는 퇴적상 뿐 아니라 화분조성에서도 일견 차이가 있다. 즉, 공통적으로 화분대 III이 존재했으나 화분대 I, II는 주상도 YY1에서만, 화분대 IV와 V는 주상도 YY2에서만 나타났다. 하부토탄층은 화분대 I, II, III시기를 포함하며, NAP시기로서 쑥(Artemisia)속, 오이풀(Sanguisorba)속, 미니라과(Umbelliferae), 벼과(Gramineae)와 사초과(Cyperaceae)등 초본류의 비율이 월등히 높고, 한냉기 수목으로 출현하는 가문비나무(Picea)속, 소나무(Pinus)속, 자작나무(Betula)속 등의 목본류를 포함하며, 이들 목본류의 절대화분량은 상부토탄층에 비해 극히 적어 산림밀도가 낮은 Wurm빙기의 식생경관을 나타내었다. 상부토탄층은 화분대 IVb, V시기를 포함하며, AP시기로서 Pinus와 Quercus 등이 높은 비율로 나타내고 절대 화분량도 많아, 홀로세 온난기의 삼림경관를 나타내었다. 각 화분대 및 아분대 우점수목의 기후환경에 대응하는 생태적 특징으로 작성한 가상 기온변화곡선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화분대 I은 Butula우점기로서 약 57,000년 BP까지 형성되었으며, 상대적 한냉기로 간주된다. 화분대 II는 EMW우점시기로서 $57,000{\sim}43$,000년 BP에 형성되었으며, Alt Wurm에서 mittel W${\"{u}}$rm으로 전환되는 Interstadial로 간주된다. 화분대 III은 43,000~15,000년 BP간의 가장 오랜 시기를 포함하며, mittel Wurm${\sim}$Jung Wurm기에 해당한다. 한냉기인 화분대 III시기 중에는 Betula, Pinus, Picea 등의 목본류가 교대로 우점하는데, YY1에서 Quercus 와 Picea의 화분조성 변화로 볼 때 아분대 IIId시기가 가장 한냉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분아분대 IVa는 하부 화분대와 상부 화분대간의 전환기층으로서 피나무(Tilia)속 우점기로 나타나며, Holocene에 해당하는 화분대 IVb와 V는 약 7,000년 BP부터 현재까지 식생변화로 각각 Quercus와 Pinus가 우점하는 시기로 한국 동해안의 曺(1979)의 화분대 I과 II에 각각 대비된다. Bartlein et al.(1986)의 diagram을 통해 볼 때, 영양지역의 Wurm빙기 최성기의 7월 평균기온은 현재보다 약 10${^\circ}$C 더 낮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peat layer was deposited on the abandoned channel of incised meander of River Banbyuncheon with 7 meter thickness on Youngyang basin. The late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 on the study area was discussed based on pollen anaalysis and radiocarbon-dating from this peat. The swamp which was caused to sediment the peat, was produced by which the fan debris from the adjacent slope damed the waterflow on the abandoned channel. The peat layer contains continuous vegetational history from 60,000y.B.P. to Recent. The peat deposit was divided into two layers by the organic thin sand horizon, which was sedimented at one time and made unconformity between the lower decomposed compact peat layers and the upper fresh fiberous peat layer. As the result of the pollen analysis, both peat layers from the two boring sites, Profile YY1 and Profile YY2 were divided into five Pollenzones(Pollenzone I, II, III, IV and V) and 12 Subzones which were mainly corresponded by the AP (Arboreal Pollen)-Dominance. The two profiles have some differences on the sedimentary facies and on the pollen composition as well. Therefore these were in common with the Pollenone III, however the Pollenzone I and II existed only on the Profile YY1 and the Pollenzone IV and V existed only on the Profile YY2. The lower layer containing the Pollenzone I, II and III revealed vegetational records of Pleistocene, which was characterized as tundra-like landscape and thin forested landscapes. It represented the NAP (Non-Arboreal Pollen)-period with a plenty of Artemisia sp., Sanguisorba sp., Umbelliferae, Gramineae and Cyperaceae. However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the boreal trees with Picea sp., Pinus sp. and Betula sp. as AP was observed in the lower layer. The upper layer contained the Pollenzone IVb and V and vegetational history in Holocene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ick forested landscape with rich tree pollen. It represented AP-period with plenty of Pinus sp. and Quercus sp. as temperate trees. The temperature fluctuation supposed from the vegetational records is as follows; the Pollenzone I(Betula-Dominance, about 57,000y.B.P.) represents relatively cold period. The Pollenzone II(EMW-Domi-nance, 57,000-43,000y.B.P.)represents relatively warm period. This period is supposed to be Interstadial, the transi-tional stage from Alt- to Mittel Wurm. The Pollenzone III(Butula-, Pinus- and Picea-Dominace in turns, 43,000-15,000y.B.P.) reproesents cold period which had been built from Mittel-to Jung Wurm. Especially the Subzone IIId represents the coldest period throughout the Pollenzone III. It is corresponds to Wurm Glacial Maximu. It is supposed that the mean temperature in July of this period was coller about 10${^\circ}$C than present. The Pollenzone IV and V represent the vegetational history of Holocene. Tilia, Quercus and Pinus were dominant in turns during this period. Subzone IVb and Pollenzone I and II at east coastal plain of Korean penninsula reported by JO(1979).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