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치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일반 50년의 회고

Retrospect and prospect of political geography and general-synoptic part of human geography in Korea

  • 임덕순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 발행 : 1996.06.01

초록

1945년 8월 광복을 맞았을 당시 국내 정치지리학은 사실상 그 존재를 말할 형편이 못 되었다. 미군정 기간중인 1947년 초에야 비지리학자 표문화가$\ulcorner$조선 지정학 개관 : 조선 의 과거 현재와 장래$\lrcorner$를 출간했을 정도였다. 국내 지리학자로서 최초의 정치지리학 체계서 를 써낸 사람은 최복현이었다. 그의 정치지리학(1959)은 당시 미국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이 다. 형기주는 국내서 지리학을 공부한 사람으로서는 최초의 정치지리학 논문(국토 통일 가 능성)을 쓴 사람이다. 1960년대 종반에 들어서서 국내 정치지리학은 꿈틀거리기 시작했다. 김대경, 차윤, 임덕순 등에 의해서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서도 연구 활기는 지속되었는데 특히 동년대 초반에 해방후 국내 지리학 수업자에 의한 최초의 정치지리학 체계서(임덕순) 가 나온 점은 특기할 만하다. 1980년대 중반에는 양적으로 보아 정치지리학이 크게 발전한 시기이다. 박사학위 논문도 최초로 나왔고 석사학위 논문도 이후 다수 나왔다. 전기간에 걸 쳐 볼 때 정치지리 연구는 \circled1 수도, \circled2 행정구역, \circled3 지정적 구조 (특히 한반도), \circled4 분단- 통일, \circled5 각급 행정수도, \circled6 성곽, \circled7 선거, \circled8 도시정치 순의 8대 범주에 걸쳐서 크게 이루 어졌다. 한국의 정치지리학은 국내 문제와 관련, \circled1 국토통일, \circled2 3면 임해의 활동, \circled2 영호 남 불통합의 3대 과제에 연구를 더 기울여야 한다. 학문 자체와 관련해서는 \circled1 신 지정학적 연구, \circled2 전략-군사지리 연구 등에 크게 힘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인문지리학 일반 연구는 $\ulcorner$인문지리학$\lrcorner$을 써낸 김경성으로부터 논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후 약 20년이 지나고나 서 오홍석의 비포괄적이나마 $\ulcorner$인문지리학 원리$\lrcorner$가 나왔다. 1970년대 중반이후 인문지리의 실증-계량적 분석에 대한 비판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그런 중에 1980년대 초반에 인문지리 학 방법론상 중요한 2개의 대립적 논문 (김인의 공간지리학 옹호와 최기엽의 장소이해 옹 호)이 나왔다. 그후 방법론상의 논의가 5-6편 나와 오늘에 이르렀다. $\ulcorner$인문지리조사법$\lrcorner$ 교 재가 역시 비포괄적이나마 국내 최초로 출간된 것은 1988년 (조동규)의 일이다. 포괄성이 훌 륭한 인문지리학 체계서의 출간이 절실히 요망된다. 방법론에 있어서는 공간-계량적 입장과 지역-종합-해석적 입장간의 조화와 상호보완이 있어야 할 것이다.

1. Retrospect of Political Geographic Studies since Liberation, 1945 : 1) Period from 1945 to mid 1960s : There was not political geography as a science in Korea at the time of liberation from Japan 1945. At that time were not pure political geographers in Korea. In 1947, Moon-Hwa Pyo, economics professor, published a book titled Outline of Korean Geopolitics. This book was a first one in the field of political geography and available at that time in the logical descriptions. Bok-Hyon Choi was a first political geographer who in 1959 wrote a book titled Political geography for the collegia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Choi introduced American-style political geography through the book above mentioned. In 1963, Kie-Joo Hyong published an article titled "Korean Unification: Possibility from the Geopolitical Viewpoint" which was a first article published by Korean young scholar who studied geography in this country. 2) Period from late 1960s to late 1980s : Both Yoon Cha and Duck-Soon Im published frequently several articles of political geography or geopolitics respectively in 1968-1969. And they issued geopolitical disputes on Korean geopolitical structure and an application of rimland theory to Korean peninsula in 1969 through a magazine named Joung-Kyong Younku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searches). The dispute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howing political geography (or geopolitics) to political sciences especially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ctive researches still continued in 1970s. In that atmosphere the first Korean book of political geography written by a post-liberation scholar (Duck-Soon Im) titled Principles of Political Geography was published in 1973. This book was influenced much by American political geography after Second World War. In 1980s, the researches continued more actively. Especially administrative districts, capital cities, and sub-capital cities were frequently studied during this period. 3) Period from late 1980s to Present: Recent Studies : 1985 was a year of much production of articles of political geography. The first Ph.D thesis of political geography published in the same year in our country. And since 1985 produced many M.A. articles. Several categories of esearches of political geography was made in the period from late 1980s to present. Capital cities, Korean unification, administrative districts, urban politics, elections, sub-capital cities, and defense walls were important research categories. Reviewing the researches from 1945 to present. I found eight categories of political geography in Korea: capital cities, administrative districts, geopolitical structure of Korean peninsula, division and unification of Korea, sub-capital cities, defense walls, elections, and urban politics. Each category includes several scholars respectiveiy. 2. Study Tasks and Prospects in Korean Political Geography: In relation to Korean circumstances there are three study-tasks. The first task of Korean people is unification of two Koreas. Political geographers of Korea must al survey titled Survey Methods of Human Geography for collegians. This book was first one on survey part in Korea. The book however, is insufficient in comprehensiveness in aspects too. I think that the important tasks of general-synoptic human geography in Korea are \circled1 publication of comprehensive books of human geography in the aspects and methodologies for collegians and \circled2 acceptance of academic world of human geography in Korea of variety in methodologies of human geography for future progress. progress.

키워드

참고문헌

  1. 地理學 v.40 도시 공간 재구조의 정치경제적 고찰 고태경
  2. 대한지리학회지 v.29 no.3 국가 이론과 공간 경제에의 국가 간섭 고태경
  3. 대한지리학회지 v.29 no.4 자본 재구조화가 도시 발달에 미치는 영향: 시카고 정치와 재개발 사업을 사례로 (영문) 고태경
  4.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반도에 대한 地政學的 고찰 權忠熙
  5. 지리학 연구 v.3 칼 하우스호퍼의 지정학 思想에 관한 연구 김광채
  6. 논문집 v.2 한국의 정치지리학적 국경선과 국가론 金大經
  7. 지리학 v.28 no.2 GIS 기법을 이용한 최적입지 선정 연구: 서울 동두천 간의 최적 방어 지역 선정 김두일
  8. 地理學 v.19 3 · 1 운동의 공간 확산에 관한 연구 김부성
  9. 지리교육논집 v.19 국회의원 선거결과의 지역적 경향 분석 김성준
  10. 지리학 연구 v.17 한국 행정구역의 개편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성(외)
  11. 地理學 v.19 행정구역의 空間的 구조: 시 군의 경우 김원경
  12. 낙산지리 v.3 미국 연방정부 세출비의 지리학(영문) 金仁
  13. 地理學 v.20 新 행정수도의 立地문제 金仁
  14. 자유인의 원탁 v.1 統獨과 統韓의 차이 김재한
  15. 지리학 논총 v.23 고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 지향적 개선방향 모색 김재한
  16. 한국의 선거 정치학(김광웅편)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행태에 관한 지정학적 연구 김형국
  17.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반도의 政治地理學的 연구 南기창
  18. 지역환경 v.1 경기 지역에 있어서 郡治 취락의 변모에 관한 연구; 죽산읍을 중심으로 남기한
  19. 논문집 v.14 지정학적으로 본 조선말의 한반도 정세 연구: 구미 열강국의 정치 경영을 중심으로 도병권
  20. 대한지리학회지 v.28 no.4 地政學的 관점에서 본 동북아권 (동북아 rim) (영문) 류우익
  21. 통일 국토의 미래상과 국토관리 정책(사회과학 연구소 편) 통일 국토의 공간구조 개편구상 류우익
  22. 지리학보 v.5 만주 및 실지 간도의 역사지리적 고찰 박관섭
  23. 地理學 v.28 no.3 도시 공간의 변화에 내재한 정치 경제적 논리의 규명: 서울시 도심 재개발을 대상으로 박선미
  24. 문화역사지리 v.4 백제 사비都城의 토지 구획 박해옥
  25. 지리교육논집 v.18 서울시 고등학교의 분포와 學群에 관한 연구 서태열
  26. 영남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首都의 국가통합 기능에 관한 연구 石成岳
  27. 영남대 대학원 박사학위(정치학) 논문 수도의 정치 발전적 기능에 관한 연구 石成岳
  28. 지리학 연구 v.12 재정력 분석을 통한 적정 도시 규모에 관한 연구 소진광
  29. 지리교육논집 v.17 인구 포텐셜과 接近度 분석에 의한 地方 行政中心地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孫明哲
  30. 서울의 景觀 변화(서울학 연구소 편) 조선 후기 서울의 인구 및 행정구역 양보경
  31. 논문집 v.23 15 · 16세기 경상도 행정구역의 지리적 고찰 원경열
  32. 전북대 교대원 석사학위 논문 전라도 폐현의 연혁과 위치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 유휘상
  33.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주 지방의 성곽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연구 윤성주
  34. 지리학 v.3 舊邑 취락에 관한 연구: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李琦錫
  35. 지리교육논집 v.19 백제 몽촌토성의 입지특성에 대한 소고 李琦錫
  36. 이병곤 화갑 기념논집 경복궁과 조선총독부 청사의 풍수지리적 관계 이몽일
  37. 계명대(외) 합동 논문집 v.1 한국 성곽 소고 李聖學
  38. 경북대 교육대학원 논문집 v.2 한국 行政區域에 관한 역사지리학적 연구(통일신라 시대에 대하여) 李聖學
  39. 경북대 논문집 v.29 행정구역의 縣에 관한 연구 李聖學
  40. 경북대 논문집 v.30 행정 경역의 접촉성 연구 李聖學
  41. 논문집 v.33 한국 행정구역의 郡에 관한 역사지리 李聖學
  42. 사회과학 v.3 한국 古邑의 치폐 및 명호 승강 李聖學
  43. 사회과학 v.4 한국 특수 행정구역의 시대적 지역특성 李聖學
  44. 사회과학 연구 v.2 한국 고대 도읍의 역사지리성 李聖學
  45. 지리학논총 v.6 日帝의 對韓 초기 식민지 정책이 한반도의 토지와 인구의 지역적 변화에 미친 영향: 1912-1919 이수성
  46. 지리학 v.26 no.1 광주의 舊治所 고골에 관한 역사지리적 연구 이영민
  47.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선시대 충청 해안지역의 성곽 연구 이재혁
  48. 地理學 v.41 수세 거부운동의 공간 확산과 지역구조: 1987-1989 이정록
  49. 논문집 v.8 신라 당항城의 역사지리적 고찰 이준선
  50. 地理學 v.25 강릉 지역의 고대山城 이준선
  51. 이화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투표 행태의 지리학적 연구: 우리나라의 8 · 10 · 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이진욱
  52. 地理學 v.4 한국의 空間 변화에 대한 政治地理學的 연구 任德淳
  53. 政經硏究 v.54 변연 지역 이론의 한반도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 任德淳
  54. 地理學 v.7 한국 休戰線에 대한 정치지리학적 연구 任德淳
  55. 부산교대 연구 보고 v.8 no.1 獨島의 정치지리학적 고찰 任德淳
  56. 정경연구 v.97 동남아 국제정치의 지역적 구조 任德淳
  57. 政治地理學 原論 任德淳
  58. 부산교대 연구보고 v.10 no.1 釜山 정치지리의 연구: 지역 정치지리학의 한 시도 任德淳
  59. 부산교대 연구보고12-1 서울의 首都유형 연구 任德淳
  60. 논문집(인 사) v.24 수도 서울의 결속 기능 任德淳
  61. 논문집(인 사) v.27 한양이 조선 수도로 선정된 이유: 정치지리학적 접근 任德淳
  62.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의 首都기원과 발전과정 任德淳
  63. 地理學 v.42 양독 통일화 동태의 정치지리학적 고찰: 관계 열강의 입장과 그 변화를 중심으로 任德淳
  64. 地理學 v.27 no.3 정치지리학적 시각에서 본 東海地名 任德淳
  65. 교원전문과정 연수교과 실라버스 및 교재(한국교원대 연수원 편) 한국의 통일 가능성과 통일 단계: 政治地理學的 견해 任德淳
  66. 600년 수도 서울 任德淳
  67. 서울의 景觀 변화(서울학연구소 편) 조선 초기 漢陽定都와 수도의 象徵化 任德淳
  68. 대한지리학회지 v.29 no.1 한국 행정구역 체계의 문제점과 개편의 방향 임석희
  69. 경희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련 해군전략의 정치지리학적 연구 임재근
  70. 충북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 대통령 선거 투표의 공간적 분석: 5 · 6 · 7 · 13대 선거를 중심으로 조중흠
  71. 상명지리 v.7 한국 휴전선 인접지역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 주현순(外)
  72. 靑塔 地政學 강의 차윤
  73. 政經硏究 v.52 70년대 한국의 地政學적 구조 차윤
  74. 한반도 v.11 한반도의 地政學的 위치와 한국의 안전보장 차윤
  75. 성서연구 한국의 지정학 통일 아이코노그라피 차윤
  76. 한국논쟁사(Ⅲ)(손세일 편) 地政學 이란 무엇인가?(논쟁) 차윤;임덕순
  77. 지리학 논총 v.14 역사 권력 공간: 미셸 푸코와 역사지리학 최병두
  78. 政治地理學 崔福鉉
  79. 지리학 v.12 조선 시대의 영남로 연구: 서울-상주의 경우 최영준
  80. 地理學 v.35 남한강 水運 연구 최영준
  81. 문화역사지리 v.1 조선 시대 한양의 郊지역 연구 최영준
  82. 사대 논문집 v.8 조선기 읍 취락의 입지 유형과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최창조
  83. 朝鮮地政學槪觀: 조선의 과거 현재와 미래 表文化;표해운
  84. 政治地理學槪要: 地政學的 고찰 表文化;표해운
  85. 東亞日報(10.18~10.19) 地理學상으로 본 外交문제: 우리나라의 지리적 조건을 중심하여(上下) 表文化;표해운
  86. 20世紀의 韓國 國土 統一: 地政學상의 가능성 邢基柱;홍이섭(外 편)
  87. 지리학 논총 v.12 都城 계획 종고 邢基柱
  88. 지리학 v.32 도성 계획과 우주적 상징주의 邢基柱
  89. 교대원 논문집 v.13 한국 都市財政의 순위 규모관계 홍경희(外)
  90. 國防 地理 洪始煥
  91. 논문집 v.4 地理的 제요소에서 본 소련의 戰略地理 판단 洪始煥
  92. 政治地理學: 지정학적 고찰 洪鍾赫;홍성은
  93. 지리학논총 v.14 현대 인문지리학의 思潮 권용우
  94. 人文地理學 金庚星
  95. 지리학 논총 v.10 지리학에서의 패러다임 이해와 쟁점 김인
  96. 인문지리학: 인간과 공간 조직 김인
  97. 人文地理學 원리 오홍석
  98. 김연옥 정년퇴임 기념 논집 지리학에서의 패러다임에 대한 소고 이옥희
  99. 지역과 환경(홍시환 화갑기념 논집간행위편) 인간주의적 관점에서의 空間과 장소의 개념 (영문) 이희연
  100. 지리학 논총 v.11 인간주의 지리학의 이념과 방법 정진원
  101. 인문지리 조사법 조동규(외)
  102. 지리학 논총 v.10 場所의 이해와 상징적 공간의 독해 최기엽
  103. 지리학 v.38 인문지리학 방법론의 새로운 지평 최병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