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collection and spawn manufacture of Armillaria spp. for production of Gastrodia tuber

천마생산을 위한 천마버섯균의 수집과 우량종균 제조에 관한 연구

  • 성재모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정범식 ((주)동양화학) ;
  • 문희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김수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1996.06.30

Abstract

Armillaria isolates (KNU-A110, KNU-A234, KNU-A1022 and KNU-A1030) were excellent isolates for producing Gastrodia tuber in farm cultivation. Depth of soil between $10\;cm{\sim}19\;cm$ was favorable for producing Gastrodia tuber and rhizomorph at cultivated area. Eighty nine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5 countries; 16 from Japan, 22 from USA, 26 from France, 4 from Africa and 21 from Korea. Mycelial fan of most isolates were better formed on basal medium with lemon extract than without lemon.A. mellea (KNU-A997) were strongly pathogenic to Gastrodia but A. gallica (KNU-A110) were excellent symbiotic to Gastrodia tuber. Mycelial growth were good on basal medium containing $0.25%{\sim}0.5%$ ethanol and sawdust spawn added wheat bran and corncob. Liquid culture inoculation were not only fast growth of mycelium but also reduction of contamination.

본 연구는 천마를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Armillaria속균을 수집하였으며 천마재배지를 조사하여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천마 재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주는 KNU-A110, KNU-A234, KNU-A1022, KNU-A1030 등 4균주로 조사되었다. 재배지의 토양에 깊이는 $10cm{\sim}19cm$가 천마의 생산이나 Rhizomorph의 형성에 가장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에서 5종 16균주, 미국에서 11종 22균주, 프랑스에서 6종 26균주, 아프리카에서 1종 4균주를 분양 받았으며 1994년도에 우리 나라에서 21균주를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레몬을 첨가한 배지에서 왕성하게 Mycelial fan을 형성하였으며 A. mellea인 KNU-A997 균주에서 병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A. gallica인 KNU-A110 균주에서는 병원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종균 제조배지의 첨가물로는 Ethanol $0.25%{\sim}0.5%$가 우수하였으며 농가 부산물의 첨가로는 밀기울과 옥수수속의 첨가에서 효과가 있었다. 액체 접종원은 배양속도를 빠르게 할 뿐 아니라 오염률을 현격히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Quart. J. For. v.21 The parasitism of Armillaria mellea in relation to conifers Day, W.R.
  2. The Encyclopedia of Mushrooms Dickinson, C.;Lucas, J.
  3. Systema Mycologium Fries, E.M.
  4. Studies uber die mykorrhiza von Galeola. septentrionalis REICHB.-Ein neuer Fall der Mykorrhiza-Bildung durch intraradicale Rhizomorpha. Die Pflanze Hamada, M.
  5. J. Coll. Agric. Tokyo. v.4 no.1 Gastrodia elata and its symbiotic association with Armillaria mellea Kusano, S.
  6. Canadian J. Microbiology. v.11 Etnanol produced by Aureobasidium pullullans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Armillaria mellea Pentland, G.D.
  7. Kor. P. Plant Pathology Unreported foot and root rot of Pinus koraiensis caused by Amillaria mellea in Korea Sung, J.M.;Cha, J.Y.
  8. Kor. J. Pl. Path. v.7 no.1 Biology and taxonomic cocepts of Armillaria in Pinus forests in Korea Sung, J.M.;Park, Y.J.;Kim, H.J.;Harrington, T.C.
  9. Kor. J. Pl. Path. v.10 no.4 Studies on Korean species of Armillaria Sung, J.M.;Yang, K.J.;Lee H.K.;Harrington, T.C.
  10. J. Japan v.41 Notes on Gastrodia of Japan(3) Tuyama, T.;Sugino, T.
  11. Acta Botanica Sinica v.22 no.1 The biological relationship of Gastrodia elata and Armillaria mellea Zhang, W.;Li, B.
  12. Pleurotus ostreatus의 액체종균생산에 관한 연구 강태수
  13. 한국식물병리학회지 v.10 no.4 한국산 뽕나무버섯균의 종에 관한 연구 성재모;양근주;이현경;Harringten, T.C.
  14. 한국균학회지 v.23 no.1 Armillaria속균을 이용한 천마 생산 성재모;정범식;양근주;이현경;Harrington, T.C.
  15. 천마의 재배기술체계확립과 식품개발에 관한 연구;농촌진흥청 특정연구보고서 제1차년도 성재모;김광포;지근억
  16. 천마의 인공재배법;대한민국특허공고 이지열
  17. 천마형태학 周鉉;劉成運
  18. 한국 균학회지 no.3 Armillaria mellea의 균사배양 및 균사속 생산에 관한 연구 홍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