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strodia tuber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초

천마생산을 위한 천마버섯균의 수집과 우량종균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llection and spawn manufacture of Armillaria spp. for production of Gastrodia tuber)

  • 성재모;정범식;문희우;김수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2호통권77호
    • /
    • pp.127-134
    • /
    • 1996
  • 본 연구는 천마를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하여 Armillaria속균을 수집하였으며 천마재배지를 조사하여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재 천마 재배지에서 가장 우수한 균주는 KNU-A110, KNU-A234, KNU-A1022, KNU-A1030 등 4균주로 조사되었다. 재배지의 토양에 깊이는 $10cm{\sim}19cm$가 천마의 생산이나 Rhizomorph의 형성에 가장 적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에서 5종 16균주, 미국에서 11종 22균주, 프랑스에서 6종 26균주, 아프리카에서 1종 4균주를 분양 받았으며 1994년도에 우리 나라에서 21균주를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균주가 레몬을 첨가한 배지에서 왕성하게 Mycelial fan을 형성하였으며 A. mellea인 KNU-A997 균주에서 병원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A. gallica인 KNU-A110 균주에서는 병원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종균 제조배지의 첨가물로는 Ethanol $0.25%{\sim}0.5%$가 우수하였으며 농가 부산물의 첨가로는 밀기울과 옥수수속의 첨가에서 효과가 있었다. 액체 접종원은 배양속도를 빠르게 할 뿐 아니라 오염률을 현격히 저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rmillaria 속균을 이용한 천마의 생산 (Production of Gastrodia elata Tuber using Armillaria spp.)

  • 성재모;정범식;양근주;이현경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72호
    • /
    • pp.61-70
    • /
    • 1995
  • Armillaria 속균은 천마를 생산하는데 아주 중요한 균이다. 한국에서는 천마재배지의 골목과 이병수목 그리고 그 곳에서 발생한 자실체로부터 72균주가 분리 되었다. 이들 분리균에 대한 정확한 biological species를 분류하기 위하여 tester를 이용하여 교배시험을 한 결과 A. mellea가 2균주로 이들 균주는 천마재배포장에서 분리 된 균주이며 이제까지 채집한 자실체에서 분리된 균주에서는 A. mellea가 없었다. A. tabescens는 7균주로 치악산에서는 신나무, 속초에서는 해송의 그루터기와 강원대 연습림의 참나무에서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으며 A. ostoyae는 24균주로 주로 본 병원균에 침입을 받아 죽은 10년생 전후의 잣나무의 지표면 부위에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다. A. gallica는 39균주로 주로 참나무 등 14 종류의 기주식물 그루터기에 형성된 자실체에서 분리되었다. Armillaria 속균들은 배양적 특성에 따라서 4가지 Group 들로 분리되었으며 Group II인 KNU-A110(A. gallica)은 다른 Group들에 비해 균사의 생장과 균사속 형성이 대단히 왕성하였고 천마의 생산에도 우수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이 균들은 식물조직에 있는 mycelial fan과 천마 사이를 균사속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재배 방법에 있어서는 종균접착법이 가장 좋았다. 천마는 강원도 내의 13개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천마는 줄기의 색에 의하여 3가지 종류로 구별되었으며 줄기색이 brownish orange와 greyish yellow는 G. elata로 판별되었고 줄기색이 greyish green 인 것은 G. gracilis로 판별되었다. 천마는 주로 5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낙엽이 덮여진 부식토층의 남향 경사지에서 채집되었다. 자마는 성숙한 천마가 싹이나고 썩으며 생산되든지 다른 자마로부터 출아로 생산되었다. 자마는 균사속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서 자라게 되며 자마가 성숙한 천마가 되기까지는 약 3년이 소요된다.

  • PDF

천마 괴경썩음병 방제에 효과적인 유기농업자재 선발 (Screening for Effective Organic Farming Materials for the Control of Tuber Rot of Gastrodia elata Caused by Fusarium spp.)

  • 김창수;이한나;김효진;서상영;조종현;이은숙;안민실;김희준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61-574
    • /
    • 2021
  • 본 연구는 Fusarium spp.에 의해 발생하는 천마 괴경썩음병에 대하여 유기농업자재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기농업자재 15품목을 대상으로 실내에서 항균활성 검정과 실내시설에서 천마 자마에 포자현탁액 접종을 통한 자마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중 미생물제인 7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Fusarium spp.의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천마 자마를 이용한 검정에서 3품목의 유기농업자재가 7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그 중에서 sulfur가 유효성분인 광물질 제제의 억제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그 다음으로 3품목의 유기농업자재를 선발하여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적용하였는데, 예방적 처리를 했을 때 3품목 모두 병 발생에 대한 억제 효과가 상당히 높았다. 특히 sulfur와 B. subtilis의 예방적 효과는 각각 93.2%, 86.9%로 탁월하였으며, 치료적 효과는 73.3%, 60.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citronella + paraffin oil + ethyl alcohol은 예방적 효과와 치료적 효과가 각각 73.3%, 67.0%로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를 통해 시설하우스 내 연작 재배지에서 잘 발생하는 천마 괴경썩음병은 유기농업자재로 충분히 방제될 수 있으며, 예방적 처리가 더욱 중요하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Fusarium oxysporum Causes Root Rot on Gastrodia elata in Korea: Morphological, Phylogenetic, and Pathogenicity Analyses

  • Sang-A Lee;Eun-Kyung Bae;Chanhoon An;Min-Jeong Kang;Eung-Jun Park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41-46
    • /
    • 2022
  • Gastrodia elata infected with root rot disease was collected from cultivated G. elata fields in Gimcheon, Korea, in 2018. G. elata tuber surfaces exhibited root rot disease symptoms of dark-grey lesions and white fungal mycelial growth. The fungus was isolated from symptomatic tubers and cultur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of ribosomal DNA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he isolated fungus was Fusarium oxysporum.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oot rot caused by F. oxysporum on G. elata tubers in Korea.

Diverse Mycena Fungi and Their Potential for Gastrodia elata Germination

  • Xiao-Han Jin;Yu-Chuan Wang;Dong Li;Yu Li;Hai-Yan He;Han-Bo Z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1249-1259
    • /
    • 2024
  • It remains to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 and phylogenetic signals for the Mycena strains with seed germination of the orchid plant Gastrodia elata. This study analyzed the community composition and phylogenetics of 72 Mycena strains associated with G. elata varieties (G. elata. f. glauca and G. elata. f. viridis) using multiple gene fragments (ITS+nLSU+SSU). We found that (1) these diverse Mycena phylogenetically belong to the Basidiospore amyloid group. (2) There is a phylogenetic signal of Mycena for germination of G. elata. Those strains phylogenetically close to M. abramsii, M. polygramma, and an unclassified Mycena had significantly higher germination rates than those to M. citrinomarginata. (3) The Mycena distribution depends on geographic site and G. elata variety. Both unclassified Mycena group 1 and the M. abramsii group were dominant for the two varieties of G. elata; in contrast, the M. citrinomarginata group was dominant in G. elata f. glauca but absent in G. elata f. viridi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munity composition of numerous Mycena resources in the Zhaotong area varies by geographical location and G. elata variety. Importantly,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Mycena's phylogenetic status is correlated with its germination rate.

천마 생육단계별 변온에 의한 최적온도 및 재배기간 (The ptimum temperatures during cultivation period of Gastrodia elata according to growth stages)

  • 김창수;김효진;서상영;김희준;이왕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0-95
    • /
    • 2018
  • 본 연구는 실내시설재배에서 천마의 생육단계를 균사활착기, 괴경형성기, 괴경비대기, 휴면기로 구분하고, 최적 온도 및 배양기간을 설정하였으며, 괴경비대기에 변온처리를 하였다. 천마의 균사활착기는 $20^{\circ}C$에서 30일, 괴경형성기는 $25^{\circ}C$에서 120일, 괴경비대기는 $6{\sim}24^{\circ}C$에서 60일, 휴면기는 $5^{\circ}C$에서 30일로 처리하여 총 배양기간은 240일로 설정하였다. 실내시설재배는 노지재배보다 균사활착기는 30일 단축되었고, 괴경형성기는 30일 연장되었으며, 휴면기는 120일 단축됨으로써, 전체 재배기간이 약 120일 단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밀폐된 실내시설재배에서 온도 조건을 제어하면 천마를 연중생산 할 수 있는 생육모델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Phenolic and Furan Type Compounds Isolated from Gastrodia elata and their Anti-Platelet Effects

  • Pyo Mi Kyung;Jin Jing Ling;Koo Yean Kyoung;Yun-Choi Hye 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381-385
    • /
    • 2004
  • Nine phenolic ($1\~9$) and two furan type (10, 11)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ic extract of the tuber of Gastrodia elata Blume (Orchidaceae) in the course of continuing search for platelet anit-aggregating plant components. Compound 1 was identified as 4,4'-dihy-droxybenzyl sulfone, a novel compound for the best of our knowledge. Compound 10, 5-hydroxymethyl-2-furancarboxaldehyde, was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Compound 1 ($IC_{50};\;83{\mu}M$) was about four times more inhibitory to U46619 induced aggregation than ASA ($IC_{50};\340{\mu}M$). Compound 9, 4,4'-dihydroxy-dibenzylether, ($IC_{50};\;5{\mu}M$, $3{\mu}M\;and\;33{\mu}M$, respectively) was $10\~}80$ fold more potent than ASA ($IC_{50};\;420\;{\mu}M,\;53\;{\mu}M\;and\;340\;{\mu}M$ respectively) to collagen, epinephrine and U46619 induced aggregation, although it is less active than ASA to AA induced aggregation.

재배조건과 수확시기에 따른 천마의 기능성 물질함량 변화 (Change of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 Times)

  • 김현태;박응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2-288
    • /
    • 2013
  • Gastrodia elata Blume is a achlorophyllous orchid plant that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many human illnesses, such as vertigo, hemiplegia, and epilepsy. It contains three major pharmacological substances; gastrodin, ergothioneine, and vanillyl alcohol. Here we investigated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hose functional components by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 times. The content of ergothioneine was different with cultivation areas, while gastrodin accumulated the higher levels than vanillyl alcohol regardless of cultivation areas. The smaller tubers contained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gastrodin and the lower concentrations of ergothioneine than did the larger tubers. The cultivation under sun shade screen increased the concentrations of both gastrodin and vanillyl alcohol but decreased the levels of ergothioneine. We also determined the contents of functional substances depending on the harvest times. The concentration of gastrodin was higher in October than in April, while the level of ergothioneine was higher in April than in October. Interestingly, the use of sexually propagated seed tubers produced 1.9 times higher levels of gastrodin compared to vegetatively propagated seed tuber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ree major functional substances in G. elata tubers altered depending on various cultivation practices, which might be important to increase the economic values of G. elata tubers.

수확시기와 자마의 특성별 천마의 아미노산 함량 변화 (Change of amino acids cont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with harvest times and seed tuber)

  • 김현태;박응준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29-235
    • /
    • 2014
  • 천마는 난초과 식물로서 예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봄과 가을에 수확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마의 수확시기와 자마의 특성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수확시기에 따른 총 아미노산 함량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각 아미노산의 함량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을에 수확한 천마에서는 아스파라긴이 19%로 함량이 제일 높았으며, 필수 아미노산으로는 발린인 10%를 차지하였다. 봄에 수확한 천마에서는 세린이 2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필수 아미노산 중에는 아르기닌(10%)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자마의 특성별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 했을 때, 유성증식 천마가 무성증식 천마에 비하여 총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성증식 천마의 필수 아미노산은 가을에 수확한 무성증식 천마와 함량이 비슷한 것으로 나왔으며, 비필수 아미노산은 봄에 수확한 무성증식 천마와 함량이 비슷한 것으로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천마의 다양한 재배 환경에 대한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알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자연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가 높아질것으로 판단이 된다.

천마 종자 생산을 위한 수확시기별 처리방법에 따른 자마 생산력 효과 (Effect of Immature Rhizome Productivity according to Harvest Times-based Treatment Method for Seed Production of Gastrodia elata)

  • 김창수;김효진;서상영;김희준;이왕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2-377
    • /
    • 2018
  • 본 연구는 천마의 종자생산을 위한 수확시기별 처리 방법에 따른 자마 생산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봄수확 천마는 괴경의 무게를 60-99 g, 100-139 g, 140-179 g, 180 g 이상으로 처리하였고, 가을수확 천마는 $5{\pm}1^{\circ}C$의 저온을 2, 4, 6, 8, 10주 처리하였다. 그 결과, 봄수확 천마는 괴경의 무게가 100 g 이상일 경우, 인공수정률이 90.9%-94.8%, 원괴체 형성률이 3.1%-5.4%, 자마 형성률이 10.1%-15.3%로 나타났다. 가을수확 천마는 4주 이상의 저온처리 시 인공수정률이 70.4%-87.6%, 원괴체 형성률이 2.2%-2.6%, 자마 형성률이 8.7%-9.5%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자 및 자마 생산을 위해서는 봄수확 천마는 100 g 이상의 괴경을 사용해야 하고, 가을수확 천마는 저온에서 4주 이상의 휴면타파가 필요했다. 가을수확 천마를 이용할 경우 봄수확 천마에 비해 인공수정률, 원괴체 및 자마 형성률이 낮았지만, 자연 발아 상태보다 월등히 높았다. 따라서 일정한 괴경의 무게와 저온처리 휴면타파를 이용하면 천마의 종자와 자마가 확보됨으로써 천마의 연중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