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혈압 및 폐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nd Systemic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숙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영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치홍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Lee, Sook-Young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Choi, Young-Mee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Chi-Hong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won, Soon-Seog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f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발행 : 1995.04.30

초록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기도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흔히 동반되는 비만과 같은 체형상의 특성은 다른 폐기능의 변화도 가져올 수 있고, 이러한 폐기능의 변화는 수면 무호흡시 나타나는 저산소증 및 환자의 임상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병태생리학적 관련성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많은 환자에서 고혈압을 동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에서 기도저항을 포함한 폐기능 검사소견과 수면다원검사 각 지표 상호간의 관련성 여부를 관찰하고, 이들중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들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들에서 연령, 비만도,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 폐기능 검사소견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면장애 크리닉에서 수면설문지검사와 수면 다원검사를 실시하여 무호흡지수가 5이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능 검사는 주간의 각성상태에서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하여 기도저항, 일산화탄소 폐확산능, 노력성호기곡선, 기능적 잔기용량과 총폐용량을 포함한 폐의 용적과 용량을 측정하였고, 수축기혈압이 16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5mmHg이상으로 고혈압의 병력이 있어 항고혈압제를 복용중인 12명(37.5%)을 고혈압환자군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연령,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으며 고현압환자군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을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서 두군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았다. 결과: 1) 비만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와 상호관련성이 있었다. 2)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산소탈포화정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주간에 실시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과 무호흡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산소탈포화정도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비만도와 $FEV_1,\;FEV_1/FVC$, DLco 사이에는 각각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5) 고혈압환자군이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에 비하여 평균연령이 높았으나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비만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무호흡지수와 호흡장애지수는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유의한 지표였다. 주간의 각성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은 무호흡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기도저항의 측정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보조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므로 이들 환자의 진단과 치료시 폐기능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고혈압의 병태생리학적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관찰방법을 달리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Background: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OSAS), there are several factors increasing upper airway resistance and there is a predisposition to compromised respiratory function during waking and sleep related to constitutional factors including a tendency to obesity. Several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pnea(SA) and systemic hypertension. But the possible pathophysiologic link between SA and hypertension is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age, body mass index(BMI),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and polysomnographic data in patients with OSAS. And also we tried to know the difference among these parameters between hypertensive OSAS and normotensive OSAS patients. Methods: Patients underwent a full night of polysomnography and measured pulmonary function during waking. OSAS was diagnosed if patients had more than 5 apneas per hour(apnea index, AI). A careful history of previously known or present hypertension was obtained from each patient, and patients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geq$ 160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geq$ 95mmHg were classified as hypertensives. Results: The noctural nadir of arterial oxygen saturation($SaO_2$ nadir) was negatively related to AI and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and the degree of noctural oxygen desaturation(DOD) was positively related to AI and RDI. BMI contributed to AI, RDI, $SaO_2$ nadir and DOD values. And also BMI contributed to $FEV_1,\;FEV_1/FVC$ and DLco value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irway resistance(Raw) and AI, and there was a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Lco and DO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se parameters between hypertensive OSAS and normotensive OSAS patients. Conclusion: The obesity contributed to the compromised respiratory function and the severity of OSAS. AI and RDI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severity of hypoxia during sleep. The measurement of pulmonary function parameters including Raw and DLco may be helpful in the prediction and assessment of OSAS patients. But we could not find clear difference between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OSAS patient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가톨릭 중앙의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