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Volume 42 Issue 1
- /
- Pages.50-57
- /
- 1995
- /
- 1738-3536(pISSN)
- /
- 2005-6184(eISS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Hemoptysis
객혈환자에서 동맥 색전술의 효과
- Yoo, Byung-S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Ryu, Jeo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Lee, Won-Y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ong, Kwang-S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Ahn, Kang-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Yong, Suk-J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Shin, Kye-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im, Young-Ju (Department of Radiology,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유병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류정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원연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광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강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용석중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계철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방사선과학교실)
- Published : 1995.02.28
Abstract
Background: Transcather arterial embolization has been established as an effective means to control hemoptysi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decreased pulmonary function such as postpneumonectomy patients and those with advance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e evaluated the effect of arterial embolization and analysed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al and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the clinical course and outcome after arterial embolization in the patients with significant hemoptysis. Method: 58 patients with massive or recurrent hemoptysis underwent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for the treatment of hemoptysis from April 1992 to Sept. 1993. Results: Most common cause of hemoptysis was pulmonary tuberculosis(34 cases, 58.3%). Embolized vessels responsible for hemoptysis were 56 bronchial arteries and 32 nonbronchial systemic arteries. Initial most common angiographic findings were hypervascularity and shunt. Initial success rate of hemoptysis control revealed 81.1%. However, 15 of 58 patients(25.9%) showed recurrence of hemoptysis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he complications(18 cases, 31%) such as chest pain, fever, voiding difficulty, atelectasis, paralytic ileus and unwanted embolization were occured. Conclusion: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is useful and relatively safe treatment modality for immediate bleeding control of patients with massive hemoptysis or inoperable cases. The further evaluation of the long term results according to the embolized material and underlying pulmonary disease will be required.
연구배경: 기관지동맥 혹은 체측부동맥의 색전술은 수술전 환자상태의 안정화 혹은 지혈을 위해 또는 수술하기가 힘든 양측성 만성 폐질환환자에서 유용한 치료로 받아지고 있다. 이에 저자등은 객혈환자에서 동맥색전술의 효과와 색전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정과 환자의 경과 및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4월부터 1993년 8월 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에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24시간 동안에 400cc이상의 대량객혈이나 내원시 2번이상의 반복적인 객혈로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환자 5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객혈의 원인 결핵이 34예(58%)로 가장 많았고 동맥 색전술시 시행한 혈관 조영상 과혈관신생과 기관지동맥과 폐동맥사이의 단락이 보이는 경우가 25예(43%)로 가장 많았다. 동맥 색전술은 Ivalon을 사용한 16예(27%), Gelform은 24예(41%), 두가지 모두 사용한 예는 17예(29%)였으며, 체측부동맥이 출혈에 관여한 경우가 32예(57%)였으며 동맥 색전술후 합병증은 모두 18예(31%)로 흉통이 6예, 발열 4예, 배뇨장애 4예로 비교적 경미한 합병증이 대부분(14예, 78%)이었다. 동맥 색전술후 재출혈은 15예(29%)였고 재출혈 환자군과 재출혈이 없었던 환자군의 비교에서 Gelform만 사용했던 환자가 의의있게 많았고, 원인 질환으로는 두 환자군사이에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으며 혈관 조영술상에서는 체측부동맥이 재출혈군에서 의의있게 많았다. 결론: 객혈환자에서 특히 수술전에 지혈목적이나 폐기능 저하등의 이유로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의 차선적 치료로 기관지 혹은 체측부동맥등의 동맥 색전술은 유용하고 안전한 방법이다. 또한 앞으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