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tential Element Retention by Weathered Pulverised Fuel Ash : II. Column Leaching Experiments

풍화 석탄연소 고형폐기물(Pulverised Fuel Ash)의 중금속 제거가능성 : II. 주상용출실험

  • Lee, Sanghoon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Yonsei University)
  • Received : 1995.06.10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Column leaching tests were conducted using fresh and weathered pulverised fuel ash of some 17 and 40 years old from two major British power plants, with deionised water and simulated synthetic industrial leachate. The former was to see the leaching behaviour of weathered ash and the latter was to see if the formation of secondary products from water and PFA interaction and ameliorating effect in removing metals from industrial leachates. Fresh PFA liberates elevated concentrations of surface-enriched inorganics, including Ca, Na, K, B, $Cr_{total}$, Li Mo, Se and $SO^{2-}_4$. This might indicate their association with the surface of PFA particles. In the column leaching tests using weathered ash and deionised water, elements are not readily leached but are released more slowly, showing relatively constant concentrations. For the case of weathered ash, some readily soluble surface-enriched elements appears to have been liberated in their early stage of leaching and the liberation of glass associated elements are thought to be more important function in controlling the element concentration. The result from column leaching tests exceed for a number of elements when compared with various Water Standards and suggests the leachate from PFA disposal mound needs dilution to achieve target concentrations. PF A shows element retention effect for many elements, including B, Fe, Zn, Hg, Ni, Li and Mo, in the order of fresh Drax ash > weathered Drax ash > Weathered Meaford ash in retaining capacity. Geochemical modelling using a computer program WATEQ4F reveals some solubility controlling secondary solid products. These include $CaSO_4{\cdot}2H_2O$ for Ca, $Al(OH)_3$ for Al and $Fe(OH)_3$ for Fe.

석탄연소 폐기물 (Pulverised Fuel Ash: PFA)을 17년, 40년 매립 풍화받은 것 그리고 현재 발생하는 신선한 시료등으로 구분 영국내 2개 화력발전소로부터 각각 채취하여 주상용출시험 (Column leaching test)을 실시하였다. 용매는 증류수와 인공합성 침출수의 2가지를 이용하였다. 전자의 경우 풍화 시료의 용출행태를 주로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후자의 경우 PFA시료와 용매간의 반응중에 발생하는 2차 물질형성이 폐수처리중 중금속제거에 활용가능성이 있는가를 알아보자고 함이었다. 신선한 시료로부터 매우 높은 함량의 원소방출이 관찰된다. 이는 Ca, Na, K, B, Cr, Li, Mo, Se, 그리고 $SO^{2-}_4$등을 포함한다. 이는 원소들의 분포위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들원소의 입자 표면 수반을 시사한다. 풍화 받은 시료로부터 채취된 용액시료에서는 신선한 시료와는 달리 원소들의 급격한 초기방출은 관찰되지 않으며 비교적 일정함량을 보이며 매우 완만한 농도감소 현상을 보인다. 이는 17년과 40년이라는 매립기간중 표면의 용융성원소들의 방출을 의미하며 입자를 주로 구성하는 유리질물질에 수반되는 부분이 이들 시료에서의 원소방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증류수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여러가지 침출수배출기준, 음용수기준치 등과 비교시 PFA는 이들 기준에 초과하는 농도를 나타내는바 침출수배출시에는 희석 등의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매립시 침출수가 지하수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야할 것으로 보인다. 인공 침출수가 PFA기둥을 통과하며 많은 중금속 - B, Fe, Zn, Hg, Ni, Li, Mo -등이 침출수로부터 제거되며 이 제거정도는 신선한 Drax > 풍화 Drax > 풍화 Meaford 시료의 순이다. 물분석시료를 지구화학 모델링 프로그램인 WATEQ4F를 이용하여 PFA 침출수내의 농도조정물질의 존재여부를 알아본 결과 Ca의 경우 $CaSO_4{\cdot}2H_2O$, Al의 경우 $Al(OH)_3$, Fe는 $Fe(OH)_3$ 등이 PFA침출수내에 각 해당원소의 농도를 제한하는 2차물질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