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ogram Analysis for Spatial Similarity Measures : A Case Study using Geochemical Data Sets in the Taebaek Area

공간적 상관도 측정을 위한 변이도 분석 : 태백지역의 지화학자료를 이용한 사례 연구

  • Lee, Kiwon (Dept. of Earth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won, Byung-Doo (Dept. of Earth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95.03.27
  • Published : 1995.06.30

Abstract

The ge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in relation to mineral exploration. The applicability of outlier detection using moving-window statistics and directional cross-variography analysis have been verified by using geochemical data sets surveyed in the Taebaek area for mineral exploration. The directional variogram analysis has been basically known as a geostatistical method for spatial continuity measures.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is proposed method was extended to measure spatial correlation or similarity problems between two geochemical elements. For the appraisal of the usefulness of this scheme, five kinds of variogram functions were computed for original data and revised data, obtained by removing outliers detected by moving-window statistic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It is concluded that these advanced spatial statistical methods at the interpretation stage of spatial similarity provide us with valuable quantitative results as decision-supporting information for regional mineral exploration task.

공간통계를 바탕으로 한 지질정보의 정량적 처리및 분석을 위한 여러 응용방법들이 최근에 광물탐사문제와 관련되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화학자료와 관련된 이상점판단(outlier detection)과 방향성 상호 변이도 측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아울러 태백지역내의 광물탐사를 위한 지화학자료에 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상점판단방법으로는 이동창(moving window)통계법이 이용되었다. 한편 상호 변이도는 공간적 연속성 측정을 위한 통계적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 개념을 자료의 공간적 상관도 문제로 확장하였다. 한편 다섯가지 행태의 변이도 표현식을 이상점처리전후의 결과와 연관하여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연구의 결과로 이 두가지 공간 통계법에 의한 자료처리과정및 분석방법은 실제의 결정판단단계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역적 광물탐사에서 유용한 해석보조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