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한국형 자가평가 우울척도의 개발

  • Lee, Ju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이중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5.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version of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73 males and 161 females drawn from various groups of the general population by a cluster of sampling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on depression scores,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was carried out, as well a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by the SPSS/PC+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mean average of the total depression scores were $40.60{\pm}8.66$ for the subjects. Thirty-seven subjects (11.1%) showed high depression scores of 50 or over. Test-retest reliability(coefficient r=0.82, p <0.001), internal consistency(coefficient r=0.84, p <0.001) were satisfactory. Factor analysis using oblique technique rotation yielded five factors. The items of confusion, indecisiveness, decreased libido, diurnal variation, and psychomotor retardation were scored higher by the subjects. The items of suicidal rumination, psychomotor agitation, constipation, irritability, and weight loss were scored lower.

우울의 존재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한 한국형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1994년 8월 부터 1995년 6월까지 검사 당시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 그리고 일반 성인 및 그 가족을 중심으로 남자 173명(51.8%), 여자 161명(48.2%)으로 총 3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평가 우울척도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거하고 SPSS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문항 분석을 시행하여 각 문항간의 상관관계 및 문항 내적 상관도를 구하여 SDS의 신뢰도를 검증한 후, SDS의 문항 구성에 대한 내용을 알아 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우울 접수의 평균은 $40.60{\pm}8.66$이였고, 전체 우울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1.1%(37명)이었다. 본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는 검사-재검사의 신뢰도 계수는 0.82(p < .001), 항목-전체간의 상관계수의 평균치는 0.42(0.08-0.65), 내적 일관성은 0.84(p < .001)을 나타내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에서는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우울이 여러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우울척도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한 상위 문항들은 혼동, 우유부단, 성욕감소, 일주기성 변화 및 정신운동 지연 등의 순서이었고, 항목별 하위 문항은 자살사고의 반추, 정신운동 흥분, 변비, 과민성 및 체중감소 등의 항목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