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Blood Lead Determination in Some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in Korea

일부 산업보건기관들의 혈중연 분석치 비교

  • Ahn, Kyu Dong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 Lee, Byung Kook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 안규동 (순천향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
  • 이병국 (순천향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 Published : 1995.05.30

Abstract

The reliable measurement of metal in biological media in human body is one of critical indicators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its toxic effect on human health. Recently in Korea the necessity of quality assurance of measurement in occupational health and occupational hygiene fields brought out regulatory quality control program. Lead is often used as a standard metal for the program in both fields of occupational health and hygiene. During last 20 years lead poisoning was prevalent in Korea and still is one of main heavy metal poisoning and the capability of the measurement of blood lead is one of prerequisites for institute of specialized occupational health in Korea. Furthermore blood lead is most important indicator to evaluate lead burden of human exposure to lead and the reliable and accurate analysis is most needed whenever possible. To evaluate the extent of the interlaboratory differences of blood lead measurement in several well-known institute specialized in occupational health in Korea, authors prepared 68 blood samples from two storage battery industries and all samples were divided into samples with 2 ml. One set of 68 samples were analyzed by authors's laboratory(Soonchunhyang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SIIM) and 40 samples of other set were analyzed by C University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CIIM) and the rest 28 samples of other set were analyzed by Japanese institute(K Occupational Health Center:KOHC). Authors also prepared test bovine samples which were obtained from Japanese Federation of Occupational Health Organization (JFOHO) for quality control. Authors selected 2 other well-known occupational health laboratories and one laboratory specialized for instrumental analysis. A total of 6 laboratories joined the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blood lead measurement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blood lead between SIIM and CIIM in different group of blood lead concentration,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two laboratories was less than 3.0%.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verage blood lead between SIIM and KOHC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6.84% as maximum. 2. Taking less than 15% difference of mean or less than 6 ug/dl difference in below 40 ug/dl in whole blood as a criteria of agreement of measurement between two laboratories, agreement rates were 87.5%(35/40) and 78.6%(22/28) between SIIM and CIIM, SIIM and KOHC respectively. 3. The correlation of blood lead between SIIM and CIIM was 0.975 (p=0.0001)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IIM = 2.19 + 0.9243 ClIM, whereas the correlation between SUM and KOHC was O.965(p=0.0001) with the equation of SIIM = 1.91 + 0.9794 KOHC. 4. Taking the reference valu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each of 6 laboratories's measurement value as a independent variable,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R^2$) of simple regression equations of blood lead measurement for bovine test samples were very high($R^2>0.99$),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beta}$) was between 0.972 and 1.15 which indicated fairly good agreement of measurement results.

사람의 독성 영향을 평가하는데는 생체 시료중 금속의 분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나라는 최근에 산업보건 분야에서 이 문제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법적인 정도관리 제도를 도입하였다. 연은 특수건강 진단과 산업위생 정도관리 프로그램에서 표준적인 금속으로 이용된다. 과거 20 여년 동안 연중독은 중금속 중독증 발생율이 가장 높았으며 따라서 산업보건 전문기관들은 혈중연 분석의 능력은 필수적인 것으로 되어 왔다. 또한 혈중연은 연 폭로를 평가하는데 가장 중요한 지표이므로 신뢰성과 정확한 분석이 항상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잘 알려진 산업보건기관에서 혈중연 분석의 실험실간 측정치의 변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축전지 제조공장의 68명 연폭로 근로자로부터 2 ml씩 2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그 하나는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SIIM)에서 분석하고 40개의 시료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CIIM), 그리고 나머지 28개의 시료는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JOHC)에서 분석하여 비교하였으며, 한편 일본 전국노동위생연합회(JFOHO)에서 정도관리용 우혈을 농도별로 6종을 구입하여 우리나라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 Y 대학 산업의학연구소, S 대 환경보건과, D 연구소등 6개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는 평균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도 3%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평균값에서 역시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최고 6.84% 였다. 2.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와 국내 C 대학 산업 의학연구소간 혈중연 농도별 분석결과가 15% 이하의 차이를 나타낸 시료의 수는 40개중 35개로 87.5%의 일치율을 나타내었으며, 일본 K 노동위생기술쎈타와는 28개 시료중 22개로 78.6%의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3. 순천향대 산업의학연구소의 결과를 종속변수로 그리고 국내 C 대학 산업의학연구소간의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단순회귀식은 순천향 = 2.19 + 0.9243 C 대학(p=0.0001), 상관계수는 r = 975(p =0.0001)였으며, 일본 기관과는 순천향 = 1.91 + 0.9794 K 일본(p=0.0001), 상관계수 r = 0.965(p=0.0001)였다. 4. 일본 정도관리시료의 공인 값과 본 연구에서 이들 시료를 분석한 기관들 간의 분석치에 대한 단순회귀식의 설명력(R2)은 모두 0.99 이상이었으며 일본 정도관리 시료의 공인 값을 종속변수로 하고 국내 및 일본 기관들의 정도관리 시료 분석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기울기는 0.972에서 1.153으로 정체적으로 양호한 일치율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