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수문순환과정의 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로써 하천유역의 형태학적 요인들은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할 뿐 아니라 광범위하여 인간의 접근이 곤란하다. 이러한 하천유역의 기하형태학적 특성을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경비 및 인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 컴퓨터 주변기기 및 소프트웨어의 개발로 수자원 분야에서 GIS를 이용, 유역과 유추분석을 위한 응용연구를 시작으로 수질 및 물분배 등과 같은 문제에 적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여기서 추출된 자료를 이용하여 수자원의 많은 공가적 분석이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1:250,000의 지형도를 scanning하여 vectorizing함으로서 DEM(digital elevation model)자료를 생성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지형도를 이용한 유역경계를 추출하였다. 또한 추출된 자료로부터 지표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수문학적 유역특성인자들을 정량화하여 기존 자료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여기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수자원의 운용 및 관리를 위한 정확하고 신속한 하천유역의 기하형태학적 자료를 수문정보로 사용함으로써 지형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하천유역의 공간정보 즉, 수문 및 지형학적 인자의 추출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 GIS is capable of extracting various hydrological factors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One of important tasks for hydrological analysis is the division of watershed. It can be an essential factor among various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In this study, watershed itself and other geometric factors of watershed are extracted from DEM by using GIS technique. The manual process of tasks to obtain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is automated by using the functions of ARC/INFO software as GIS package. Scanned data was used for this study and it is converted to DEM data. Various forms of representation of spatial data are handled in main module and GRID module of ARC/INFO. GRID module is used on a stream in order to define watershed boundary, so it would be possible to obtain the watersheds. Also, a flow direction, stream networks and orders are generated. The results show that GIS can aid watershed management and research and surveillance. Also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parameters of watershed can be quantified with ease using GIS technique and the hardsome process can be auto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