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환자(腦卒中患者) 161례(例)에 대(對)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Observation for the 161 Cases of CVA

  • 강명석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전찬용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 박종형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 Kang, Myeong-Seo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Jun, Chan-Yo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 Park, Chong-Hyeong (Dep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Won University)
  • 발행 : 1995.10.30

초록

연구배경(硏究背景) 및 목적(目的): 국내(國內) 대부분(大部分)의 한방병원(韓方病院)에서 많은 수의 환자(患者)가 중풍(中風)으로 입원(入院)하고 있다. 이에 한방병원(韓方病院)을 찾고 있는 중풍환자(中風患者)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통계분석(統計分析)과 더불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方向)등에 대해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할 것으로 여겨져 본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하였다. 대상(對象) 및 방법(方法): 1994년 1월(月) 1일(日)부터 동년(同年) 12월(月) 31일(日) 까지 경원대학교(暻園大學校) 부속(附屬) 한방병원(韓方病院) 순환기내과(循環器內科)에 Brain CT나 MRI상(上) 뇌혈관질환(腦血管疾患)으로 진단(診斷)받거나, 임상적(臨床的) 증상(症狀)으로 뇌졸중(腦卒中)으로 진단(診斷)받은 161예(例)의 환자(患者)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하였다. 결과(結果) 및 결론(結論): 1. 뇌졸중(腦卒中)의 종류별(種類別) 빈도(頻度)에서 뇌경색(腦梗塞)이 가장 많았으며 뇌출혈(腦出血), 지주막하출혈(蜘蛛膜下出血), 고혈압성뇌증(高血壓性腦症), 일과성뇌허혈발작(一過性腦虛血發作)의 순(順)이었다. 2. 선행질환(先行疾患)은 고혈압(高血壓)이 가장 많았으며, 당뇨(糖尿)도 많은 예(例)에서 나타났다. 3. 일반적(一般的)인 통례(通例)와는 달리 겨울보다는 여름에 많이 발생(發生), 입원(入院)하였다. 4. 입원당시(入院當時) 의식상태(意識狀態)가 안 좋았던 환자(患者)에게서 예후불량(豫後不良)한 환자(患者)가 많이 나타났다. 5. 물리치료(物理治療)의 평균(平均) 개시시기(開始時期)는 뇌경색(腦梗塞)에서 11.4일(日), 뇌출혈(腦出血)에서 22.7일(日)이었다. 6. 한(韓), 양방(洋方) 협진(協診)을 실시(實施)한 경우가 많았으며, 그 필요성(必要性)이 많이 나타났다.진단(診斷)에서부터 치료(治療)의 전과정(全過程)을 통(通)해서 서의치료(西醫治療)와 동의치료(東醫治療)를 결합(結合)하여 종합치료(綜合治療)를 하므로써 폐암(肺癌)의 치료효과(治療效果)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治療法)으로 계속적인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較)하였다. 끝으로 본(本) 연구는 1965 年度 서울대학교 대학원(大學院) 연구비(硏究費)로 수행(遂行)한 것이며 본 연구를 시종 지도편달(指導鞭撻) 해 주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주임교수 이춘영박사(李春寧博士)에게 감사(感謝)를 드리며 또한 본 연구의 시료를 제공하여 주신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이고웅박사(李股雄博士)에 게 사의(謝意)를 표하는 동시에 본 연구의 분석에 협력하여 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김수영군(金洙榮君)에게 사의(謝意)를 표하는 바이다. 5 참조(參照)) (4) 벼를 pot에 심고 2회(回)에 걸쳐 control, Imidan, N-hydroxy methyl phthalimide, anthranilic acid 및 phthalimide의 10, 25, 50, 100 ppm 농도(濃度)의 각(各) 유제(乳劑)를 살포하고 일정기간후(一定期間後) 생육상(生育相)을 조사(調査)하였더니 Imidan 구(區)와 N-hydroxy methyl phthalimide 구(區)가 control 보다 좋은 성적(成績)을 보였다. (5) Imidan 250 ppm 유제(乳劑)를 수도엽면(水稻葉面)에 살포(撒布)하고 3 일(日), 5 일(日), 7 일(日) 및 14일후(日後)에 일정량(一定量)의 엽경(葉莖)을 채취(採取)하여 acetone으로 추출(抽出)k고 acetonitrile을 가지고 prechromatographic piriication 을 거쳐 paper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다음과

Clinical observation was made on 161 cases of CVA that were confirmed through brain CT, MRI scan and clinical observation. They were hospitalized in th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Kyung-Won University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94. 1. The CVA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kinds: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hemorrhage, subarachnoid hemorrhage(SAH), transient ischemic attack, hypertensive encephalopathy, and the greatest in number among them were the cases of cerebral infarction. 2. The frequency of strokes was much the same between male and female cases and most cases were over 50 of age. 3. In the case of cerebral infarction the place of the most frequent occurrences was in the MCA territory, and as for cerebral hemorrhage, in the basal ganglia area. 4. The most ordinary preceding disease was hypertension. The next was diabetes mellitus. 5. Generally it is thought that CVA occurs frequently in winter. But on the contrary this study of observation confirmed that it occurs mostly in summer. 6. The predisposing factors of cerebral infarction were usually initiated during the time of resting and sleeping and those of cerebral hemorrhage chiefly during the time of exercising. 7. As concerns the course of hospitalization, most patients passed through western medical hospitals or oriental medical hospitals. 8. For the patients the condition of whose consciousness was bad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prognosis in most cases was bad. 9. The common symptoms were motor disability and verbal disturbance. 10. With regard to cerebral infarction, the average time to start physical theraphy was 11.4 days and with cerebral hemorrhage 22.7 days after stroke. 11.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in most cases more than one month. 12. The main complication was urinary tract infection. The next was pneumonia. 13. At the time of admission to hospital, the blood pressure in most cases was high, but it well controlled at the time of discharge. 14. Most cases were given simultaneous treatment in both ways of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

키워드

참고문헌

  1. 病態生理學 金昌鍾
  2. 內科學(下) 이문호(외)
  3. 中央醫學 v.46 腦卒中(中風)의 東西醫學的 治療에 關한 硏究 具本泓
  4. 대한의학협회지 v.11 우리나라 인구의 사망에 관한 소고 권이혁
  5. 대한재활의학회지 v.8 no.2 腦卒中의 臨床的 考察 권희규(외)
  6. 대한내과학회지 v.14 腦卒中에 對한 臨床的 考察 김대하
  7. 대한내과학회지 v.11 腦卒中 患者 740례에 對한 臨床觀察 김동준(외)
  8. 대한신경외과학회지 v.11 no.2 腦卒中 患者에 對한 臨床的 考察 김신태(외)
  9. 대한가정의학회지 v.12 no.2 腦卒中의 臨床的 觀察 김영준(외)
  10. 大韓韓醫學會誌 v.12 no.2 中風患者의 言語障碍에 關한 臨床的 考察 金泓淳(外)
  11. 대한내과학회지 v.20 no.153 腦率中에 對한 臨床的 考察 나병만
  12. 대한재활의학회지 v.11 no.2 腦卒中의 再活治療에 對한 考察 박정미;박창일;조경자;신정순
  13. 大韓韓醫學會誌 v.15 no.2 視床出血의 臨床的 考察 朴昌國
  14. 大韓韓醫學會誌 v.8 no.2 閉鎖性 腦卒中에 對한 臨床的硏究 裵哲患(外)
  15. 大韓韓醫學會誌 v.14 no.1 風痺患者 69例에 對한 臨床的 考察 卞一(外)
  16. 대한내과학회지 v.18 腦卒中의 臨床的 觀察 徐永濠(外)
  1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14 老人 腦卒中에 對한 臨床的 考察 徐雲敎(外)
  18. 대한신경외과학회지 v.6 no.2 腦卒中의 危險因子에 關한 調査 신건민(외)
  19. 대한재활의학회지 v.12 no.1 腦率中의 早期 再活治療에 對한 檢討 신정빈(외)
  20. 慶熙韓醫大論文集 v.4 中風에 關한 臨床的 觀察 甲眞榮
  21. 대한내과학회지 v.25 腦卒中의 臨床的 觀察 양인명(외)
  22. 慶熙大學校 大學院 碩士 腦卒中에 關한 臨床統計的 硏究 尹鎭九
  23. 大韓韓醫學會誌 v.7 no.2 腦卒中에 對한 東西醫學的 考察 吳世鵬
  24. 대한내과학회지 v.21 腦卒中의 臨床的 觀察 이기정(외)
  25. 대한韓方內科學會誌 v.3 no.1 CT상 確診된 BASAL GANGLIAINFAECTION의 臨床적 考察 李源哲(外)
  26. 慶熙韓醫大論文集 v.8 中風의 臨床적 硏究 李仁仙(外)
  27. 혜화의학 腦卒中患者의 臨床的 觀察 李診燮(外)
  28. 대한내과학회잡지 v.21 no.11 腦卒中의 臨床的 관찰 정윤희(외)
  29. 대한재활의학회지 v.15 no.4 腦卒中 患者의 再活治療 時點에서의 評價와 機能的 回復에 關한 硏究 정한영(외)
  30. 慶熙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原發性 腦實質內出血에 關한 臨床的 考察 曺基湖(外)
  31. 東西醫學 v.17 no.2 中風의 時代的 發展變化와 文獻的 考察 奏炯碩(外)
  32. 대한한의학회지 v.11 no.1 中風의 血瘀論的 考察 및 活血祛瘀法에 의한 治療近況 崔賢(外)
  33. 丹溪心法附餘(上) 方廣
  34. 巢氏諸病源候論(券二) 巢元方
  35. 千金補急要方(券八) 孫思邈
  36. 證治準繩 王肯堂
  37. 黃帝內經 王氷註
  38. 傷寒三六書 劉完素;劉河間
  39. 東垣十種醫書 李果(外)
  40. 金궤要略 張仲景
  41. 實用中醫內科學 黃文東(外)
  42. Geriatricles v.24 Serum Lipid profles Berry, J.E.;Uzawa, H.;Fujimi, S.
  43. Arch Phys Med Rehabil v.41 Develoment of objective predicters of recovery in hemiplegic patients Bruell, J.H.;Simon, J.I.
  44. unit. Stroke v.8 no.6 Factors influencing outcome and lengh of stay in stroke rehabilitation Feigenson, J.S.;mCcARTHY ml, Greenberg, S.D.;Feigenson, W.D.
  45. Arch. Neurol. v.10 no.91 Serum Lipid and Cerebrovascular disease Feldman, R.G.;Albrink, M.J.
  46. Arch Phys Med Rehabil v.71 Electromyographic versus rhythmic positional biofeedback incomputerized gait retaining with stroke patients. Handel, A.R.;Nymark, J.R.;Balmer, S.J.;Grinnel, M.D.;0'Rain, M.D.
  47. Neurology v.8 A classification and outline of cerebrovascular disease Millikan, C.H.
  48. J Neurosurg Psychiatry v.45 Recovery after stroke Skilbeck, C.E.;Wade, D.T.;Hewer, R.L.;Wood,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