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s of Soil Bulk Density and Natural Revegetation on the Logging Road of Timber Harvested-Sites

벌채적지(伐採跡地) 운재로(運材路)의 토양가밀도(土壤假密度) 변화(變化)와 자연식생회복(自然植生回復)에 관한 연구(硏究)

  • 우보명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박재현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경훈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4.10.12
  • Published : 1994.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the useful scientific data on the early rehabilitation of the legging road after timber harvesting in the forest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logging roads which were constructed during 1989 and 1994 in Mt. Baekwoon. The field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1991. Judging from the analysis of soil bulk density, time required for recovery as the undisturbed forest soil condition was more than 10 years in the road which was left, and the regression equation is as follows, $$Y_1=1.4195-0.0744{\cdot}X(R^2=0.91)$$ $$Y_2=1.4673-0.0688{\cdot}X(R^2=0.73)$$ (X : elapsed year after road construction. $Y_1$, $Y_2$ : soil bulk density($g/cm^3$) at 0~7.5cm, and 7.5~15.0cm, respectively) Especially soil bulk density with buffer strip-woods was $0.890-0.903g/cm^3$, so it was 20% lower than that of logging road surface without buffer strip-woods. Among the 7 factors, location, sand content, and soil hard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oil bulk density in logging road surface. The pioneer species on logging road surface were Rhus cratargifolius, Prunus chinensis, and Lespedeza cyrtobotrya, etc. in woody species, and Pteridium aquilinum, Arundinella hirta, and Lysimachia clethroides, etc. in herb species. So, in process of year, average plant coverage were 70% on cutting and banking slope and 20% on logging road surface which elapsed 6 years after logging road construction. Through this research, buffer strip-woods must be remained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forest conditions, and from the time to be closed the road, planting, seeding, and grazing works could be effective to the soil condition and vegetation recovery.

이 연구(硏究)는 벌채작업후(伐採作業後) 방치된 운재로의 조기식생회복(早期植生回復)을 위한 과학적(科學的)인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할 목적(目的)으로 1989년(年)부터 1994년(年)까지 서울대학교(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附屬) 남부연습림(南部演習林) 백운산지구(白雲山地區) 제(第) 26 임반(林班), 제(第) 27 임반(林班)에 연차적(年次的)으로 개설(開設)된 운재로(運材路)를 대상(對象)으로 이 연구(硏究)를 수행하였다. 운재로(運材路) 노면(路面)의 토양교란(土壤攪亂)으로 인한 토양가밀도(土壤假密度)와 자연식생회복(自然植生回復)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운재로(運材路) 노면(路面)의 토양가밀도(土壤假密度)는 운재로 개설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연임지(自然林地) 상태(狀態)로 회복(回復)되어 가는데 약 10년이 소요되며, 계산식(計算式)은 다음과 같다. $$Y_1=1.4195-0.0744{\cdot}X(R^2=0.91)$$, $$Y_2=1.4673-0.0688{\cdot}X(R^2=0.73)$$ (단, X : 경과년수, $Y_1$ : 토양 0~7.5cm의 가밀도, $Y_2$ : 토양 7.5~15cm의 가밀도) 수림대(樹林帶)를 조성(造成)하고 운재로(運材路)를 개설(開設)한 지역(地域)의 토양깊이별 가밀도(假密度)는 각각 $0.892g/cm^3$, $0.903g/cm^3$로 수림대를 조성하지 않은 운재로보다 약 20% 낮았다. 운재로(運材路) 절(切) 성토사면(盛土斜面), 노면(路面)에 침입하는 목본의 중요도(重要度)는 산딸기, 산벚나무, 참싸리 등의 순이었으며, 초본은 고사리, 새, 큰까치수영 등의 순이었다. 또한 운재로 폐쇄후 약 6년이 경과되었을 때 식생피복도(植生被覆度)는 절(切) 성토사면(盛土斜面)은 약 70%, 노면은 약 20%로 운재로의 폐쇄후 조기에 인공적(人工的)으로 식생회복(植生回復)을 도모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성숙임목수확(成熟林木收穫) 벌채지역(伐採地域)에서 운재로(運材路) 개설시(開設時)에는 수림대(樹林帶)를 조성하여야 하며, 운재로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녹화수목식재공사(綠化樹木植栽工事) 및 파종공사(播種工事)와 노면굴기작업(路面掘起作業) 등을 통하여 운재로(運材路) 노면(路面) 토양(土壤)의 조속(早速)한 회복(回復)과 식생피복녹화(植生被覆綠化)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