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2,4-Dichorophenoxyacetic Acid on Adventitious Root Formation from Callus Bupleurum falcatum L. and Its Histological Observation

시호(Bupleurum falcatum L.)의 캘러스로부터 부정근 분화에 미치는 2,4-Dichlorophenoxyacetic Acid의 영향과 분화의 해부학적 고찰

  • Published : 1994.01.01

Abstract

Calli were induced from leaf explants of B.falcatum, and selected cell clumps of the calli (900-1, 000${\mu}{\textrm}{m}$)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0.5, 1.0 or 2.0 mg/L 2, 4-D for 7 days, respectively: The clumps were subsequently transferred onto MS basal medium and subcultured for four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 4-D pretreatment, the selected clumps were cultur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 mg/L 2, 4-D for 24, 48, 72, 96, 120 or 144 hours and then transferred to liquid MS basal medium, wherein they were cultured for 4 weeks. Histological observation showed that root initial cells were developed from cells on the surface of clumps or from cells in the inner region. Clumps on the basal medium produced mot within 5 days of culture. The rate of prutruding time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2, 4-D. Th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per clump preheated with 0.1 mg/L 2, 4-D was an average of 5.2, which was the highest level. On MS medium as control, the clumps formed 3.3 adventitious roots each. As tile concentration of 2, 4-D increased, th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were declined accordingly: The number of adventitious roots as the period of pretreatment increased upto 120 h.

시호의 어린 잎 절편으로부터 캘러스의 유도는 0.1 mg/L 2,4-D가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유도된 캘러스는 균일한 크기의 세포괴만을 선발하여 MS배지에 0, 0.1 mg/L, 0.5, 1.0, 2.0 mgh의 2,4-D를 첨가하여 7일간 배양한 다음, 세포괴를 부정근 유도를 위해 2,4-D가 제거된 MS배지에 계대배양하여 부정근의 형성과정 및 근원기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정근 형성은 0.1 mg/L 2,4-D를 처리후 호르몬 무처리의 배지에 옮겨주었을 때 세포괴당 평균 부정근수 5.2개로 가장 우수하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장된 부정근의 길이에 있어서는 각 처리구별로 14-16 mm로 농도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시간에 따른 부정근의 형성에서는 수록 세포괴당 부정근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120시간에 이르러서 최대치를 보였다. 이 결과 부정근 발생에 있어 적정농도의 2,4-D는 부정근 시원세포기 및 근원기 발생기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며 근원기가 캘러스 표면밖으로 돌출되는 시기에는 저해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조직학적 기원에 있어서는 특정한 조직의 기원이 아닌 캘러스 표면 세포 및 내부세포로부터 최초 여러개의 시원세포가 형성되어, 캘러스 표면쪽으로 왕성한 반원형의 분열조직을 형성한 다음에 신장 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