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Doenjang made from Different Material and Ratio of Koji

고오지의 종류와 배합을 달리한 된장의 특성

  • 최경숙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 이혜수 (서울대학교 가정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4.02.01

Abstract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the basic knowledge to make Doenjang which is acceptable to Korean people three kinds of koji, namely rice, wheat, and soybean Koji were made with Aspegillus oryzae. Then Doenjangs were made with four different ratio of three Kinds of Koji. Components related to the taste of Boenjang were analyzed, sensory evaluation of Doenjang were made, and correlation between analytical variables and sensory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Total nitrogen contents of each Doenjang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Koji except Doenjang made with soybean Koji. The amounts of amino nitrogen increased with the ratio of koji increases in each Doenjang. Amino nitrogen contents of Doenjang made with soybean Koji were highe. than the others, 2. Reducing sugar contents of rice and wheat Doenjang were similar, but amount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Koji Reducing sugar contents of Soybean Doenjang were lower than the others. pH of the Doenjangs decreased as the ratio of the koji increased. The amount of sweet taste amino acids and MSf; like amino acids were increased, but bitter taste amino acids were decreased as the ratio of the koji increased in rice and wheat Doeujang, The sweet taste amino acids and bitter taste amino acids in soybean Doenjang showed little Changes in amount, but the amount of MSG like amino acids increased as the ratio of the Koji increased from 13% to 25%, 37%, and 50%. The nucleotide contents of wheat Doenjang were higher than other Doenjangs, and there is a tendency to increase the amounts of nucleotide as increasing the ratio of koji in each Doenjang. 3.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heat Doenjang of 13% koji ranked highest in the overall eating quality, and Doenjangs made with 50% and 37% of rice koji ranked next, 4. pH and sweet tast amino acids influenced on the Overall eating quality of the Doenjang, however most compo-nents of the Doenjang seemed to relate to overall eating quality of Doenjang, however most components of the Doenjang seemed to relate to overall eating quality of Doenjang.

1. 각 된장의 총질소 함량은 고오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아지나 콩 된장에서는 고오지의 비율과 무관했다. 아미노태 질소는 세 가지 된장에서 고오지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소량씩이나마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콩된장의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다른 된장보다 높았다. 2. 된장의 맛 성분으로서의 환원당 함량은 쌀 된장과 밀 된장이 비슷하나 고오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그러나 콩 된장은 고오지의 비율과 관계없이 다른 된장에 비해 함량이 낮았다. pH는 고오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고오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쌀 된장과 밀 된장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과 MSG 같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은 약간씩 증가하고 쓴맛을 내는 아미노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콩 된장은 단맛과 쓴맛을 가진 아미노산의 합량에는 거의 변화가 없고 MSG 같은 맛을 내는 아미노산은 고오지의 비율이 25%, 37%, 50%일 때에는 13%의 약 2배로 함량이 증가했다. 밀 된장의 핵산 관련 물질의 합량은 다른 된장보다 특히 많았고, 모든 된장에서 고오지의 비율이 높을수록 핵산 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다. 3.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맛은 밀 고오지 13%를 이용한 것이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50%, 37%의 쌀 고오지를 이용한 것이 좋았다. 4. 관능검사 결과와 맛 성분과의 관계를 보면 전체적인 맛에 영향을 주는 주된 요인은 pH와 단 맛을 내는 아미노산이기는 하나 어느 한 성분치와 깊은 관계가 있다기보다는 모든 성분치가 고르게 관여한다고 보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