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eoceanographic Investigation from the Ostracodes of the Middle Miocene Chunbuk Formation in Pohang Basin

포항분지 중기 마이오세 천북층에서 산출되는 개형충 화석을 이용한 고해향학적 연구

  • Woo, Kyung-Sik (Department of Ge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uh, Min (Department of Geology, Chu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Moon (Nuclear Environment Management Center,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 우경식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
  • 허민 (전남대학교 지질학과) ;
  • 박세문 (한국원자력연구소부설 원자력환경관리센터)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The well preserved ostracodes of the Chunbuk Formation in Pohang Basin were analyzed isotopically to understand paleoceanographic conditions of the southeastern park of Korean peninsula which Songhacdong, and Mulcheonri areas range from - 2.2 to - 0.7% (PDB), - 0.7 to 0.0% , and -20.0 to - 0.8%, and their corresponding paleotemperatures range from ca 20 to 27$^{\circ}C$ (average = 24$^{\circ}C$), 17 to 20$^{\circ}C$ (average = 18$^{\circ}C$), and 20 to 26$^{\circ}C$ (average=23$^{\circ}C$),respectively. Assuming the $\delta$/SUP 18/O composition of the Middle Miocene seawater was about - 0.34% (SMOW), the paleotemperatures of the Middle Miocene shallow seawater in the Pohang Basin was almost equal to or slightly higher than the present summer temperature (ca 16 to 20$^{\circ}C$) near Pohang area. Carbon isotopic value of Cyhere omotenipponica is - 0.8% (PDB), reflecting marine carbonate carbon composition. Carbon isotopic compositions of other ostracodes such as Aurial okumurai, Trachyleberis niitsmai, Urocythereis sp., Urocythereis cf. gorokuensis, and Acanthocythereis mutsuensis range from - 5.2 to - 3.4% (PDB), which might have secreted their shells out of equilibrium with ambient seawater. This disequilibrium was most likely to have resulted from metabolic (=vital) effect, rather than temperature of productivity.

포항분지 내의 천북층에서 산출되는 변질되지 않은 개형충 화석을 대상으로 중기 마이오세 동안에 한반도 남서부 부근에 영향을 주었던 고해양학적 조건을 이해하기 위 하여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정리, 송학동 및 물천리 지역의 변질되지 않은 개형충의 산소동위원소 성분은 각각 -.2.2~ -0.7$\textperthousand$(PDB), -0.7~0.0$\textperthousand$ 과 -2.0~ -0.8$\textperthousand$이며, 이 성분에 의한 고해양해수의 온도는 각각 20~27$^{\circ}C$ (평균=24$^{\circ}C$), 17~2 $0^{\circ}C$ (평균=18$^{\circ}C$)과 20~26$^{\circ}C$ (평균=23$^{\circ}C$) 정도이다. 만일 중기 마이오세 동안에 포항 분지내 천해 해수의 산소동위원소 성분이 약 -0.34$\textperthousand$ (SMOW)이었다고 가정하면, 중기 마이오세 동안에 포항분지내 천해 해수의 고온도(paleotemperature)는 현재 포항부근 천해의 평균여름 온도와 거의 비슷하였거나 약간 높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된 개 형충 중 Cythere omotenipponica의 탄소동위원소 성분은 -0.8$\textperthousand$(PDB)로서 해수내의 탄 산염이온의 탄소동위원소 성분을 잘 반영하고 있으나, Aurial okumurai, Trachyleberis niitsmai, Urocythereis sp., Urocythereis cf. gorokuensis, and Acanthocythereis mutsuensis와 같은 나머지 개형충의 탄소동위원소 성분은 -5.2~ -3.4$\textperthousand$(PDB)로서 주위의 해수와 비평형상태를 이루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고해양해수의 온도나 생산력의 차이에 의한 영향이라기 보다는 개형충 자체 내 의 생리적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