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Warm Edd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Japan Sea)

동해 남서해역에서의 난수성 소용돌이에 대하여

  • AN, HUISOO (Dept. of Earth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M, KYUNGSIN (Dept. of Earth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HONG-RYEOL (Physical oceanography divisio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 안희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 심경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과) ;
  • 신홍렬 (한국해양연구소 해양물리연구부)
  • Published : 1994.06.01

Abstract

The characteristics and fluctuations of structure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warm eddies (anticyclonic edd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Japan Sea) are discussed based on the data gathered y the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Korea from 1967 to 1968. The warm eddies existed very often in the southwest of the Ullung Island. The warm eddies are elliptical in shape and the mean size is about 130 km in diameter. Bimonthly distributions of warm eddies, the largest value of observed frequency and diameter in August and the least in June, indicate that the generation of the warm eddy is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The warm eddies move west, north or southward with 0.80∼2.50 cm/sec or stay over a few months at the same place southwest of the Ullung Island. Movement of warm eddies may be influenced by the neighboring currents, the Rossby wave and the topograp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of warm eddies and the bottom topography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and the movement of warm eddies are controlled by the Ullung Basin. The warm eddies sh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the shallow warm eddy with strong baroclinic characteristics and the other is the deep one with strong Barotropic characteristics. The shallow group seems to be closely related with positive values (in summer) of the sea level difference between Pusan and Mozi (the Tsushima Current), while the deep group has no relation with that.

1967년부터 1986년까지의 국립수산진흥원의 관측자료를 사용하여 동해 남서해역에 서 난수성 소용돌이 (고기압성 소용돌이)의 구조 및 공간분포의 특성과 변동에 대해 연구하였다. 난수성 소용돌이는 울릉도 남서쪽 부근에서 자주 관측되며, 타원형이 많 고, 평균크기는 약 130 km이다. 난수성 소용돌이의 월별분포에 의하면 8월에 관측되는 빈도가 가장 많고, 6월에 가장 적다. 이것은 난수성 소용돌이의 발생이 동한난류 세력 의 발달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난수성 소용돌이는 서쪽이나 북쪽 또는 남쪽으로 0.80∼2.50 cm/sec의 속도로 이동하거나 한 장소에서 수개월동안 정체한다. 이러한 움 직임은 주변의 해류와 로스비파 및 지형의 영양을 받는다. 난수성 소용돌이의 분포아 해저지형과의 관계는 소용돌이의 이동과 발달이 울릉분지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난수성 소용돌이는 크게 2개의 군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경압성의 특성 이 강한 수심이 얕은 소용돌이 군이고, 다른 하나는 순압성의 특성이 강한 수심이 깊 은 소용돌이 군이다. 부산과 일본의 모니와의 해수면 차이로 대마난류의 수송량을 추 정할 수 있는데, 수심이 얕은 소용돌이의 분포가 여름철 수송량이 클 때와 일치하였 다. 반면에 수심이 깊은 소용돌이 군은 대마난류의 수송량과 아무런 관계도 보이지 않 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