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 among Isogenic Lines of Waxy and Hulless Gene Combinations in Barley

보리의 찰ㆍ메 및 피ㆍ과성 동질유전자 계통내 발아 및 출아율 차이

  • Published : 1993.02.01

Abstract

On the purpose to increase the cultivation stability of the hulless waxy barley which is unstable in the northern region of Korea, the effects of genes of hulled /hulless and waxy /nonwaxy on seedling emergency was studied by using four isogenic lines of hulled -waxy, hulless -waxy, hulled -nonwaxy and hulless -nonwaxy barley. The germination rates of hulless lines lowered by four to six percent compared with those of hulled counterparts with one day's rainfall just before harvest, and were much deteriorated with raining prolonged. The gaps between emergency rates of hulless lines and their counterpar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germination rates, and the differences increased as the seeding depths were deepened. The emergency rates of hulless lines were affected in the order of seeding depth, rotation speed of thresher and preharvest rainfall. Waxy endosperm gen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amage of grain during threshing. It seems that the embryos of hulled lines were less damaged than those of hulless ones during threshing due to the protecting effects by husks. When grains were threshed with thresher of 600rpm or 900rpm and dehulled with dehuller of 750rpm, any significant depreciations such as broken seeds and decreased germination rate did not occured in hulled lines. But the grains of hulless lines received some damages with the rotation speeds, especially germination rates decreased seriously when the rotation speed of de huller was high. Prehavest sprout rates of the lines incorporated with the waxy genes were higher than those with nonwaxy genes whereas the genes of hulled and hulless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effects.

최근 육성된 내한성이며 찰쌀보리인 품종들이 확대 보급을 통하여 재배지대의 북상과 수량에 대한 안정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찰과, 찰피, 메과 및 메피성의 isogenic line을 이용한 찰ㆍ메 및 피ㆍ과성인자가 발아 및 출현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수확 전일 강우시는 피성에 비하여 과성의 발아율이 4-6% 낮았으며, 5일 인공강수처리에서는 과성의 발아율로 현저히 저하되었다. 2. 탈곡기회전속도가 600rpm에서 1000rpm으로 상승할 때 피성의 발아율이 100%에서 90%로 저하되었으나, 과성은 98%에서 76%로 크게 저하되었다. 3. 과성에서 발아율보다 출현률이 피성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으며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그 차이가 컸다. 4. 파종심도, 고탈곡회전수가 수확시의 강우순으로 피성보다 과성의 출현율은 크게 저하되었다. 5. 탈곡시 찰성배유유부자에 따른 쌀보리의 배손상정도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6. 탈곡시 배의 손상은 겉보리는 영에 의한 보호로 적었으나 영의 보호가 없는 쌀보리는 컸다. 7. 탈곡시 탈곡시의 회전수를 600, 900rpm으로 탈곡만 하거나 또는 탈곡후 탈망회전속도를 750rpm으로 탈망한 종자의 손상입률 및 발아율은 겉보리는 큰 영향이 없었으며, 쌀보리는 매우 높아 채종시 주의가 필요하다. 8. 수발아율은 찰성인자 도입시에는 메성에 비해 높았으나 과성인자 도입시에는 차이가 없었다. 9. 과맥의 출현률 향상을 위하여는 수확후 강우피해를 방지하고 탈곡시 회전속도를 낮추며 파종심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찰성인자 도입시에는 등숙과 정중 휴안성이 낮아 수발아률이 높은 점을 고려한 육종적 조치를 하여야 찰과성 품종의 육성보급시 재배면적의 북상 및 확대를 기하고 수량의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