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Forest Scenic Beauty for Outdoor Recreation

야외휴양(野外休養)을 위한 산림풍치(山林風致)의 영향인자(影響因子) 구명(究明)

  • Song, Hyung Sop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g I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Eung Hyouk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Chugnam National University)
  • 송형섭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성일 (서울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조응혁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Received : 1992.08.31
  • Published : 1992.09.30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factors influencing forest scenic beauty in order to make and manage scenic forest of recreation areas. 62 slides were taken for the study. Each photograph was independently judged by college students in 10 different major fields, with a total 264 observers after reliability test in the study. The ratings were scaled using a computer program developed by Brown & Daniel(1990). The results of rating scale analysis indicate that respondents' major field difference affects visual preference for forest scenic beauty. Similarly, with different sexual, forest visit frequency, and community type in childhood, people tend to rate their preference differently. The respondents' rating scale of relative scenic beauty of near-view forest scenes can largely be explained in terms of forest physical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 Bare ground area and stash area are represented negative esthetic effects, while DBH, number of trees per hectare, sky area showed positive esthetic effects. These 6 variables in the model can be accounted for 74% of total variance in perceived forest scenic beauty. With this study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forest physic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visual preference for near-view forest scenes.

본 연구는 산림(山林) 휴양지(休養地)의 풍치(風致) 조성(造成) 및 관리(管理)에 기본이 되는 산림(山林) 시업(施業)에 따른 산림환경의 풍치(風致) 영향(影響) 인자(因子)를 구명하였다. 평가 대상 임분은 62매의 슬라이드를 이용하였으며 피험자(被驗者)는 신뢰성 검정을 통한 충남대학교 10개 학과 26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점(評點) 자료(資料)의 분석(分析)은 Brown & Daniel(1990)이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分析) 결과(結果)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는 전공별(專攻別), 성별(性別), 유년기(幼年期) 성장지(成長地), 산행(山行) 빈도(頻度)의 사회 경제적 변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피험자(被驗者)의 평점(評點) 값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와의 관련 여부를 조사 분석한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영향하는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중 나지(裸地) 면적(面積), 폐잔재(廢殘材) 면적(面積)의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부(負)(-)의 관계가 있었으며 흉고(胸高) 직경(直徑), ha당(當) 임목(林木) 본수(本數), 하늘 면적(面積), 산림(山林) 내(內)의 소로(小路)의 존재(存在)의 인자(因子)는 정(正)(+)의 관계(關係)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6개(個) 인자(因子)가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 변량(變量)의 74% 정도(程度)를 설명(說明)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산림(山林) 경관(景觀)의 산림(山林) 속성(屬性) 인자(因子)는 산림(山林) 근경(近景)의 시각(視覺) 선호도(選好度)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