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조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 문숙임 (동주여자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발행 : 1992.08.01

초록

피조개 월별 생산량이 8~9월에 가장 많고, 피조개 소비는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어, 여름산 피조개의 식품학적 특성을 구명하기위하여 불검화물함량, 요오드가, 지질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지질함량은 0.83%, 불검화물함량은 20.19%였으며, 요오드가는 156.13이었다. 지질조성은 triglyceride가 59.46% 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diglyceride, hydrocarbon,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phospholipids, free sterol, monoglyceride의 순이었다. 총지질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함량이 특히 많은 것은 $C_{17 : 0}$, $C_{16 : 0}$, $C_{18 : 1}$ and $CT_{16 : 2}$, $C_{16:1}$로 이들 5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66.55%를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함량이 특히 많은 것은 $C_{16 : 0}$, $C_{18 : 1}$, $C_{22 : 1}$로 이들 3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52.93%를 차지하였으며, 극성지질의 경우는 $C_{16 : 0}$, $C_{18 : 2}$, $C_{20 : 5}$, $C_{22 : 6}$ 등의 4종의 지방산이 전지방산의 58.16%를 차지하였다. 구성지방산의 조성비를 비교하면, 총지질은 포화지방산> rnonoene 산>polyen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고, 중성지질은 monoene산>포화지방산> polyene산의 순으로 monoene산이 가장 높았고, 극성지질은 포화지방산>polyene산>monoen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다.e산의 순으로 포화지방산이 가장 높았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ark shell, Anadara broughtonii. The crude lipid was extracted by Bligh and Dyer's method, and then fractionated by TLC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TLC scanner. Lipid extracted from ark shell was fractionated into neutral and polar lipid by column chromatography with silicic aci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pid fractions were determined by gas liquid chromatography. Total lipid content of ark shell was 0.83% base on wet weight. The content of unsaponifiable matter was 20.19%, and iodine value was 156.13. The main components of total lipids were triglyceride, diglyceride, hydrocarbon, and sterol ester.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chiefly consisted of $C_{17 : 0}$, $C_{16 : 0}$, $C_{18 : 1}$ and $CT_{16 : 1}$. The main fatty acids of neutral lipid were $C_{16 : 0}$, $C_{18 : 1}$, $C_{22 : 1}$, $C_{18 : 0}$ and $C_{16 : 1}$. The major fatty acids of polar lipid were $C_{16 : 0}$, $C_{18 : 2}$, $C_{20 : 5}$ and $C_{22 : 6}$. In total lipid fractionation, saturated acid contents were high in all (SA>MA> PA), in neutral lipid fractionation, menoenoic acid contents were high in all (MA > SA> PA), and in polar lipid fractionation, saturated acid con-tents were high in all (SA> PA> M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