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만에서 석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석유분해능

  • 이정래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 황열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 이기승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 이건형 (군산대학 생물학과) ;
  • 김상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Published : 1992.06.01

Abstract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etroleum-degrading bacteria(PDB) was studied at six sampling sites in Kyeonggi Bay of the Yellow Sea fiom March 1990 to October 1991. In addition, petroleum-degrading potcntial of natural ~iiai-ineb acterial population was studied at different culturc contlitions. During the period o f stutly. thc heterotrophic bacterial number and PDB number were n1e;rsured in the range of 7 000-108.400 CFU/nil. 0-2.800 MPN1100 mi. respectively. The spatial tlistribution of PDB wa\ highly affected by presence of petroleum hydrocarbon. In laboratory cxperirncnt. petrolcu~n biodegradation wac enhanced hy addition of yeast cxtracl. cell free cxtr:~ct. anti rnixctl culture of PI)B.

서해 경기만의 6개 정점을 대상으로 1990년 3월부터 1991년 10월까지 총 8외에 걸처 석유 분해세균의 공간적, 시간적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배양 조건하에서의 해양 세균 군집의 석유 뷴해능도 연구하였다. 연구 기간 중, 종속 영양세균수와 석유분해세균수는 각각 7,000-108,000 CFU/ml, 0-2, 800 MPN/100 ml 로 측정되었다. 석유분해세균의 공간적 분포는 석유 탄화수소의 존제에 의하여 심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혐실내 실험에서, 석유 분해는 배양액에 yeast extract, cell free extract 의 첨가 그리고 석유뷴해세균의 접종에 의하여 증진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