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ement of Effective Utilization Method of Skipjack Tuna Viscera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1992.01.01

Abstract

To develop an effective utilization method of skipjack tuna viscera, fish meal by an improved fermentation method(FFMA) was prepared by fermentation of the solid materials separated from autoclaved viscera with Aspergillus oryzae for 72 hours and by adding the concentrated soluble extracts separated from autoclaved viscera to the fermenting solid materials during fermentation, and FFMA fish meal was compared with the fish meals prepared by Kato mathod(FFMN) and conventional nonfermenting method(NFM). FFMN fish meal was prepared by fermenting the solid materials separated from autoclaved viscera with Aspergillus oryzae for 17 hours without adding the soluble extract. The extracts from FFMA fish meal(FFMA-E) and raw viscera(RM-E) were also prepared respectively after digestion with proteases obtained from Bacillus subtilis and Aspergillus oryzae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on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The peroxide values decreased greatly in contents of $Vitamin\;B_{1},\;B_{2}\;and\;C$ significantly increased in FFMA fish meal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fish meals.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of FFMA-E was significantly higher then that of RM-E. The total free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also greatly increased in FFMA-E in which threonine, methionine and lysine showed remarkable increments. Almost all individual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FFMA-E then in RM-E. The content of taurine, a nonprotein amino acid, greatly increased compared with other nonprotein amino acids in both extracts.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 이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내장을 자숙한 후 압착분리한 잔사에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킴과 동시에 이때 분리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유분을 제거한 후 농축시켜 발효중인 잔사에 다시 첨가하는 개량식 발효어분 제조법(FFMA)을 개발하여 발효시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는 가등(加藤)법(FFMN) 및 비발효법인 재래법(NFM)과 비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어분에 있어서 일반성분의 변화는 3가지 방법간에는 큰 차이는 볼 수 없었고, 칼슘의 함량이 개량법에서 161.0 mg%로 가등(加藤)법과 재래법의 147.0 mg% 및 148.0 mg%보다 높았다. $Vitamin\;B_{1},\;B_{2}$ 및 C의 함량은 개량법에서 각각 1.76, 2.18 및 43.10 mg%로 가등(加藤)법의 1.373, 1.383 및 35.6 mg%, 재래법의 0.732, 0.669 및 14.20 mg%보다 각기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개량법에서 33.6으로 가등(加藤)법의 29.0보다 약간 높았으나 재래법의 126.0보다는 훨씬 낮았다. 개량식 발효어분에서 추출된 추출물과 가다랑어 내장을 그대로 추출된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총 유리아미노산에서는 발효 어분에서 3957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9배 정도 높았다. 총 유리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884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2배 정도 높았고, 총 유리비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2733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2.5배 높았다. 개별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발효어분을 사용한 경우가 내장을 사용한 경우보다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threonine, methionine,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은 거의 모두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