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pjack tuna viscer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Partial Replacement of Fish Meal by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iets

  • Lee, Sang-Min;Pham, Minh Anh;Shin, Il-Shi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305-31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use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FSTV) as an alternative for fish meal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iets. Lactobacillus bulgaricus was used as a starter for fermentation of skipjack tuna viscera. Four isonitrogenous (49% crude protein) and isocaloric (4 kcal/g DM)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graded levels (0, 5, 10, and 15%) of FSTV.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hree replicate groups (40 fish per tank) of juvenile flounder (average weight, $3.3\pm0.2$ g) for 5 weeks. At the end of feeding experiment, inclusion of FSTV up to 15% in diets did not affect survival rate (%) and weight gain of fish. Feed efficiency, protein efficiency ratio, protein and lipid retentions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FSTV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The values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5% FSTV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other diets. Whole body lipid conten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FSTV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5% FSTV and control diet.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could partially replace fish meal in juvenile flounder feed, and the inclusion of 10% FSTV may be efficient in improving the feed utilization of fish.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 -가다랭이 내장 발효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 -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Preparing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 윤호동;이두석;지청일;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을 제조할 때 대량 폐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어류 내장 silage 제조를 위한 유산균주의 배양특성 및 저장기간에 따른 원료의 성상변화를 조사한 결과, MRS 배지에서 배양한 L. bulgaricus 및 L. plantarum 균주는 $pH\;5.5\~6.5$, 배양온도 $35^{\circ}C$ 부근에서 산생성 및 증식이 양호하였으며, 가다랭이 내장 자숙액에 사용된 당질원인 당밀 dextrose의 적정 첨가농도는 가다랭이 내장 중량 당 각각 $10\%$$7\%$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라 산첨가 silage의 pH는 초기 4.0에서 저장 42일째 pH 4.5로 다소 증가하였으며, 유산균 발효 silage는 초기 pH 5.9에서 점차 감소하여 pH 약 4.0까지 저하되었다. silage의 초기 VBN 함량은 약 $62\~65\;mg/100g$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저장 42일후 산첨가 silage는 112.6\;mg/100g이었고, L. bulgarius 및 L. plantarum 발효 silage는 각각 139.9 mg/100g와 155.0 mg/100g 이었다. L. plantarum 발효 silage의 저장중 경시별 아미노질소 함량은 저장 4일째 1391.3 mg/100g으로서 약 $81\%$의 가수분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L. plantarum을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silage의 초기 생균수는 $2.7\times10^8/g$에서 저장 35일째는 $2.3\times10^7/g$으로 나타났다.

  • PDF

수산물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II-가공방법에 따른 가다랭이 내장 silage의 저장 중 성분변화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Wastes from Fish Processing II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of Skipjack Tuna Viscera Silage during Storage by the Processing Method)

  • 윤호동;이두석;서상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5
    • /
    • 1997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대량 생산되는 내장을 유효하게 이용할 목적으로 유산균을 이용한 방법과 산첨가 방법에 따라 silage를 제조하고, 저장기간 중 성분변화를 검토한 결과, 산첨가 silage는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무기질의 함량이 유산균 발효 silage보다 높은 반면에, 탄수화물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낮았다. 특히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n-3 지방산 함량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산첨가 및 유산균 발효 silage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 Asp, Leu, Gly 및 Ala 이었다. 산첨가 silage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함량이 원료 내장에 비하여 $30\%$ 감소하였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5\%$ 감소하였다. 또한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산균 발효 silage의 비타민 $B_1$$B_2$ 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산첨가 silage는 $B_1$ 함량만 미미하게 증가하였고, $B_2$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첨가 silage는 회갈색을 띄고 비린내 및 젓갈냄새가 났으나, 유산균 발효 silage는 다갈색을 띄고 생성된 유기산에 의하여 산미를 나타내었다.

  • PDF

Utilization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as a dietary protein source replacing fish meal or soybean meal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Lee, Sang-Min;Kim, Kyoung-Duck;Kim, Tae-Ji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3-73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utilization of fermented skipjack tuna viscera (FSTV) in the di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Lactobacillus bulgaricus was used for fermentation of skipjack tuna viscera. Eight isonitrogenous (about 30% crude protein) diets were formulated to include different levels (0%, 10%, 20% and 30%) of FSTV as a replacer of either dietary fish meal or soybean meal. Three replicate groups of abalone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FSTV for 7 weeks. The inclusion of FSTV up to 30% in fish meal-based die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urvival, body weight, shell growth,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abalone (P>0.05). Weight gain of abalone fed the diet substituting 10% FSTV for soybean me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at of abalone fed the control diet, however this value decreased in abalone fed the 20% and 30% FSTV (P<0.05).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lipid of soft body in abalone fed soybean meal-based die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dietary FSTV level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STV can be used as a partial substitute protein source for fish meal or soybean meal in the formulated diet for juvenile abalone.

  • PDF

Effect of Maillard reaction with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on volatile components and potent odorants of tuna viscera hydrolysate

  • Sumitra Boonbumrung;Nantipa Pansawat;Pramvadee Tepwong;Juta Mookdasanit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393-405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nhance the flavor of visceral extracts from skipjack tuna. Flavor precursors an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Maillard reaction were determined. The flavor extract was prepared from the tuna viscera using Endo/Exo Protease controlled in 3 factors; temperature, enzyme amounts and incubation time.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ducing tuna viscera protein hydrolysate (TVPH) was 60℃, 0.5% enzyme (w/w) and 4-hour incubation time. TVPH were further processed to tuna viscera flavor enhancer (TVFE) with Maillard reaction. The Maillard reactions of TVFE were conducted with or without supplements such as xylose, yeast extract and methionine. The Maillard volatile components were analyz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ixteen volatiles such as 2-methylpropanal, methylpyrazine, 2,5-di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and 2-acetylthaizone were newly formed via Maillard reaction and the similarity of volatile contents from TVPH and TVFE were virtuali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integrated with heat-map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virtualize aromagram of TVPH and TVFE, odor activity value and odor impact spectrum (OIS) techniques were applied. According to OIS results,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1-octen-3-ol 2,5-dimethylpyrazine, methional and dimethyl trisulfide were the potent odorants contributed to the meaty, creamy, and toasted aroma in TVFE.

가다랭이 내장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이용 (Utilization of the Protein Hydrolysates of Skipjack Tuna Viscera)

  • 김성민;하정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1-146
    • /
    • 1995
  • 본 연구는 영양적으로 양호하고 가격면에서도 저렴한 단백질 자원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다랭이 내장을 에틸 알코올 및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펩신으로 처리함으로써 식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이 가다랭이 내장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성분과 가수분해도 및 용해도 등의 변화를 조사하고, 모조간장 또는 식빵 제조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통하여 영양적 가치와 기호성 등을 확인하였던 바, 가다랭이 내장으로부터의 단백질 농축물은 40% 정도의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나,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90% 정도까지 향상되었다. 한편 필수아미노산 함량면에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경우 전체 아미노산의 63.2%로 우수한 단백질 소재임을 알 수 있었고, 타우린의 함량이 9.4%로 상당히 높은 특징을 보였다. 또한 내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하여 모조간장 및 식빵을 제조한 다음 관능평가 결과, 모조간장의 경우는 물 100ml에 다른 원료들과 함께 내장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10.0g 첨가했을 때 제품의 색깔, 맛, 냄새 등에서 좋은 평점을 얻었으며, 식빵의 경우는 $3{\sim}5%$ 수준의 내장 단백질 가수분해물 첨가시 제품의 맛, 색깔, 냄새, 조직 및 촉감 등의 품질면에서 손색이 없었다.

  • PDF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ement of Effective Utilization Method of Skipjack Tuna Viscera)

  • 이순천;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1
    • /
    • 1992
  •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 이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내장을 자숙한 후 압착분리한 잔사에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킴과 동시에 이때 분리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유분을 제거한 후 농축시켜 발효중인 잔사에 다시 첨가하는 개량식 발효어분 제조법(FFMA)을 개발하여 발효시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는 가등(加藤)법(FFMN) 및 비발효법인 재래법(NFM)과 비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어분에 있어서 일반성분의 변화는 3가지 방법간에는 큰 차이는 볼 수 없었고, 칼슘의 함량이 개량법에서 161.0 mg%로 가등(加藤)법과 재래법의 147.0 mg% 및 148.0 mg%보다 높았다. $Vitamin\;B_{1},\;B_{2}$ 및 C의 함량은 개량법에서 각각 1.76, 2.18 및 43.10 mg%로 가등(加藤)법의 1.373, 1.383 및 35.6 mg%, 재래법의 0.732, 0.669 및 14.20 mg%보다 각기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개량법에서 33.6으로 가등(加藤)법의 29.0보다 약간 높았으나 재래법의 126.0보다는 훨씬 낮았다. 개량식 발효어분에서 추출된 추출물과 가다랑어 내장을 그대로 추출된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총 유리아미노산에서는 발효 어분에서 3957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9배 정도 높았다. 총 유리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884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2배 정도 높았고, 총 유리비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2733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2.5배 높았다. 개별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발효어분을 사용한 경우가 내장을 사용한 경우보다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threonine, methionine,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은 거의 모두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 PDF

식품소재로서 자숙 다랑어류뼈의 성분 특성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oking tuna bone as a food resource)

  • 김진수;양수경;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2
    • /
    • 2000
  • 참치통조림 가공 부산물인 다랑어류뼈를 식품소재와 같이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자료로서 가다랑어뼈 및 황다랑어뼈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락어류뼈의 건물당 조단백질 함량은 $29{\%}$로 두 어류뼈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미 노산 조성비는 황다랑어뼈 콜라겐 (193잔기/1,000잔기)이 가다랑어뼈 콜라겐 (173잔기/1,000잔기)보다 높았으나, 가축뼈 콜라겐보다는 낮았다. 조지방함량, 폴리엔산/포화산 및 DHA 조성비는 황다랑어뼈가 각각 $12.5{\%}, 1.04 및 24.0{\%}$로 가다랑어뼈의 $6.6{\%}$,0.90 및 $23.9{\%}$보다 높았으나, 오징어 내장유보다는 낮았다. 다랑어류뼈의 주요 무기질은 칼슘 및 인이었고, 이들의 함량은 가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6.5 g/100g ash 및 17.2g/100g ash이었고, 황다랑어뼈의 경우가 각각 38.0g/100g ash 및 18.7g/100g ash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다랑어류뼈는 두 종류 모두가 콜라겐 및 지질 추출소재로 보다는 칼슘 추출소재로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