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bidity Pattern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Residents in Urban Poor Area

도시 영세지역 주민의 상병양상과 의료이용행태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Chang-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eok-Beo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aKong, J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ung, Jong-H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창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석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사공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정종학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9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the morbidity pattern and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urban residents in the poor area.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2,591 family members of 677 households in the poor area of Daemyong 8 Dong, Nam-Gu, Taegu and 2,686 family members of 688 households, near the poor area in the same Dong, were interviewed as a control group. On this study the household interview method was applied. Well-trained interviewers visited every household in the designated area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heads of households or housewives for general information, morbidity condition,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dividuals were interviewed from 1 to 30 December 1988.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proportion of the people below 5 years of age was 4.2% of the total study population and 5.5% were above 65 years of age in the poor area. This was sligh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area.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a household in the poor area was 403,000 won versus 529,000 won in the control area. Fifty-eight percent of the residents in the poor area and sixty-one percent in the control area were medical security beneficiaries, but the propor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was 7.8% in the poor area and 4.6% in the control area. The 15-day period morbidity rate of acute illnesses was 57.1 per 1,000 in the poor area and 24.2 per 1,000 in the control area. Respiratory disease is the most common acute illness in both areas.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was the pharmacy among the patients with acute illnesses in the poor area. Among them 58.1% visited pharmacy initially while 38.4% of the patients in the control area visited a clinic. Among persons with illnesses during the 15 days 8.8% in the poor area and 4.6% in the control area did not seek any medical facility. Mean duration of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3.5 days in the poor area and 3.3 days in the control area. Initially of the medical facilities in Daemyong 8 Dong, The pharmacy in the poor area and the clinic in the control area were most commonly utiliz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ospital was 'regular customers' in the poor area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in the control area. The one year period morbidity rate of chronic illness in the poor area was 83.0 per 1,000 population and 28.0 per 1,000 in the control area. Disease of nervous system was the most common chronic illness in the poor area while cardiovascular disease in male and gastrointestinal disease in female were most prevalent in the control area.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was the pharmacy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in the poor area. Among them 24.2% visited the pharmacy initially while 34.7% of the patients in the control area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the hospital within a 15-day period. Among the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es 34.9% in the poor area and 16.0% in the control area did not seek any medical facility. Mean duration of utiliza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9.2 days in the poor area and 9.9 days in the control area within a 15-day period. Initially of the medical facilities in Daemyong 8 Dong, the pharmacy in the poor area and the hospital in the control area were most commonly utilized. The most common reason for visiting the hospital, clinic, health center or pharmacy in the poor area was 'geographical accessibility' while the reason for visiting herb clinic was 'good result' and 'reputation' in both areas.

일부 도시 영세지역 주민의 상병양상과 의료이용형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1988년 12월 한달간에 걸쳐 대구시 남구 대명 8동 영세지역 677가구 2,591명과 대조지역 688가구 2,682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지역의 연령별 인구 구성은 0-4세, 65세이상의 인구가 영세지역이 높았으며, 성비는 차이가 없었다. 교육정도와 경제수준은 영세지역은 낮았고, 의료보호 대상자는 영세지역이 많았다. 15일간의 급성질환 이환율은 영세지역이 1000명당 57.1로 대조지역의 24.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두 지역에서 9세 이하 연령에서의 이환율이 높았으나 연령 증가에 따른 이환율의 뚜렷한 증감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질병분류별 급성질환 이환건수는 두 지역 모두에서 남녀 공히 호흡기계 질환이 가장 많았으며, 영세지역의 경우 감염 및 기생충 질환이 두번째로 많아 대조지역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15일간의 평균 이환기간은 영세지역 6.6일, 대조지역 5.4일로 영세지역이 약간 길었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15일간 의료기관 이용은 1차 이용에서는 영세지역의 경우 약국이 58.1% 그리고 대조지역에서는 의원이 36.9%로 가장 많았으며, 2차와 3차 이용에서 영세지역은 약국과 한의원, 대조지역은 병원과 의원이 가장 많았고, 미치료율은 영세지역이 8.8%로 대조지역의 4.6%에 비하여 훨씬 높게 나타났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행태에서 1차 이용에 있어서는 동네내 이용이 영세지역 73.6%, 대조지역 64.6%로 가장 많았다. 급성질환 이환자의 의료기관 1차 이용시 병원을 이용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이 영세지역은 '단골'이었으며, 대조지역은 '가까운 거리'였다. 의원, 보건소 및 약국을 이용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두 지역 모두 '가까운 거리'였다. 1년간 만성질환 이환율은 1000명당 영세지역 83.0, 대조지역 28.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환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만성질환 이환건수는 영세지역에서는 남자의 경우 신경계 질환이 19.6%, 여자의 경우는 신경계 질환 18.3%, 근골격계 질환이 18.3%로 가장 많았고, 대조지역에서는 남자의 경우 심혈관계 질환이 23.1%, 여자의 겨우 위장관계질환이 27.3%로 가장 많았다. 조사 시점전 1년간 만성질환의 평균 이환기간은 영세지역 9.8개월, 대조지역 10.4개월로 대조지역이 약간 더 길었으며, 평균 활동 제한 기간도 영세지역 1.9개월보다 대조지역 2.1개월로 다소 길었다. 만성질환 이환자의 의료기관 1차 이용에 있어서 영세지역은 약국 이용이 24.2%, 대조지역은 병원외래 이용이 34.7%로 가장 많았으며, 2차, 3차 이용에 있어 영세지역에서는 각 의료기관을 고루 이용하였고, 대조지역에서는 병원 이용이 두드러지게 많았으며, 미치료율은 영세지역과 대조지역이 각각 34.7%, 16.0%로 영세지역이 월등히 높았다. 만성질환자의 지역별 의료이용행태에서 1차 이용에 있어서는 동네내 이용이 영세지역 38.3%, 대조지역 45.3%로 두 지역 모두에서 가장 많았다. 만성질환 이환자의 지역별 의료기관 1차 이용시 병원, 의원, 보건소 및 약국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가까운 거리'였으며, 한의원을 이용하는 이유는 '좋은 치료결과'와 치료의 명성'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영세지역의 사회경제적수준이 상병과 의료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영세지역 주민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보건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합리적이고 적절한 의료이용을 위한 지도 및 계몽과 아울러 사회경제적인 요소들의 개선을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만이 효과적인 보건의료 사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