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primary productivit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한국남해역(韓國南海域)의 일차생산력(一次生産力)

  • Published : 1991.09.01

Abstract

Southern sea of Korea was investigated for primary productivity during four scientific cruises of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Frontal structure appeared to be an important physical characteristic in enhancing the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study area. Relatively high productivity was occurred near the front between Tsushima Warm Current Water and Coastal Waters of China continent in March 1990 and in November 1989, and near the front between Tsushima Warm Current Water and Korean coastal Water in April 1989. In August 1988 high productive zone was limited to the tidal front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Nutrient supply related to the frontal structure might play a dominant role in increasing the primary productivity but mechanisms of nutrient enrichment are not clear. Average column productivity showed its maximum in April 1989 (1727 mgC/m$^2$/day). In the costal Waters of the china Continent incident light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regulating the regulating the phytoplankton production because of low light penetration rate resulting from high turbidity.

한국남해역의 일차생산력을 한국해양연구소의 3, 4, 8, 11월 4회에 걸친 현장조사 에서 측정하였다. 조사해역에서 일차생산력이 높게 나타나는 곳은 전선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듯하다. 1990년 3월과 1989년 11월에는 대마, 난류수와 중국대륙연안수 사이에 비교적 높은 일차생산력이 나타났다. 1988년 8월에는 한국남서해안의 조석전선 에서 비교적 일차생산력이 높았다. 전선구조에 따른 영양염의 공급이 일차생산력을 증 가시키는 요인이라 생각되나 물리적 환경과 영양염의 공급구조등에 대한 과정은 명확 하지 않다. 수층의 평균 일차생산력은 1989년 4월에 1,727 mgC/m$^2$/day 로 가장 높았 고 1990년 3월과 1989년 11월에는 각각 314, 517 mgC/m$^2$/day 였다. 중국대륙연안수의 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높은 탁도에 의한 투과광량의 감소가 낮은 일차생산력의 원인인 것 같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