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Delivery Management in Various Medical Facilities

의료기관별 분만관리 양상의 비교 분석

  • Park, Jung-H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ou, Young-Soo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ng-Ra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정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유영숙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장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1989.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livery management including laboratory tests, medication and surgical procedures for the delivery in various medical facilities. Two university hospitals, two general hospitals, three hospitals, two private obstetric clinics, and two midwifery clinics in a large city were selected as they permitted the investigators to abstract the required data from the medical and accounting records. The total number of deliveries occurred at these 11 facilities between 15 January and 15 February, 1989 was 789 among which 606(76.8%) were vaginal deliveries and 183 (23.3%) were C-sections. For the normal vaginal deliveries, CBC, Hb/Hct level, blood typing, VDRL, hepatitis B antigen and antibody, and urinalysis were routinely done except the private clinics and midwifery clinics which did not test for hepatitis B and Hb/Hct level at all. In one university hospital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in 71.4% of the mothers and in one general hospital liver function test was done in 76.7% of the mothers. For the C-section, chest X-ray, bleeding/clotting time and liver function test were routinely done in addition to the routine tests for the normal vaginal deliveries. Episiotomy was performed in 97.2% of the vaginal deliveries. The type and duration of fluid infused and antibiotics administered showed a wide variation among the medical facilities. In one university hospital antibiotics was not administered after C-section at all while in the general hospitals and hospitals one or two antibiotics were administered for one week on the average. In one private clinic one pint of whole blood was transfused routinely. A wide variation was observed among the medical facilities in the use of vitamin, hemostatics, oxytocics, antipyreptics, analgesics, anti-inflammatory agents. sedatives. digestives. stool softeners. antihistamines. and diuretics. Mean hospital day for the normal vaginal deliveries of primipara was 2.6 days with little variation except one hospital with 3.5 days. Mean hospital day for the C-section of primipara was 7.5 days and that of multipara was 7.6 days and it ranged between 6.5 days and 9.4 days. Average hospital fee for a normal vaginal delivery without the medical insurance coverage was 182,100 Won for the primipara and 167,300 Won for the multipara. In case of the primipara covered by the medical insurance a mother paid 82,400 Won and a multiparous mother paid 75,600 Won. Average hospital fee for a C-section without the medical insurance was 946,500 Won for the primipara and 753,800 Won for the multipara. In case of the primipara covered by the medical insurance a mother paid 256,200 Won and a multiparous mother paid 253,700 Won. Average hospital fee for a normal vaginal delivery in the university hospitals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 268,000 Won vs 350,000 Won, as well as for the C-section. A wide variation in the laboratory tests performed for a normal vaginal delivery and a C-section as well as in the medication and hospital days brought about a big difference in the hospital fee and some hospitals were practicing the case payment system. Thus, standardization of the medical care to a certain level is warranted for the provision of adequate medical care for delivery.

각급 의료기관에서 정상분만 개조와 제왕절개 분만시 시행하는 임상병리 검사 와 시술 그리고 투약의 종류, 입원기간, 의료비를 비교하여 봄으로써 적정진료에 대한 평가와 적정의료비에 대한 연구의 방향 설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저 1989년 1월 15일부터 2월 15일 사이에 1개직할시내 2개 대학병원, 2개 종합병원, 3개 병원, 2개 개인산부인과의원 그리고 2개 조산소에서 분만한 산모 78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와 의료비 계산서를 이용하여 임상병리검사, 투약, 입원기간, 입원비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총 분만건수 중 정상분만은 606명(76.8%)이었고 제왕절개분만은 183명 (23.2%)이었다. 정상분만의 경우 CBC, Hb/Hct, 혈액형검사, 매독검사(VDRL), B형 간염 항원 및 항체검사, 그리고 소변검사는 각 의료기관에서 일률적으로 시행하였으나 개인의원과 조산소에서는 B형간염 검사와 Hb/Hct 검사를 전혀 하지 않은 곳도 있었다. 그 외 1개 대학병원에서는 71.4%에서 초음파 검사를 하였고 또 1개 종합병원에서는 76.7%에서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제왕절개분만의 경우는 정상분만시 실시하는 검사 이외에 대부분 흉부X-선 촬영과 출혈시간 및 혈액응고시간 그리고 간기능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였다. 시술에 있어서는 각 의료기관이 정상분만시 97.2%에서 회음부절개를 시행하였다. 정상분만 및 제왕절개분만시 투여한 수액과 항생제의 종류와 기간에도 의료기관 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어떤 대학병원은 제왕절개 분만 후 전혀 항생제를 쓰지 않는 반면 어떤 종합병원과 병원에서는 모든 환자에게 1-2종의 항생제를 평균 1주일 정도 투여하였다. 또 어떤 의원에서는 제왕절개 분만시 모든 환자에게 전혈을 수혈하는 곳도 있었다. 이 외에도 의료기관에 따라 비타민제제, 지혈제, 자궁수축제, 진통제, 해열제, 소염제, 진정진경제, 소화제, 변비완화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등을 투여하는 빈도와 약품종류가 다양하였다. 입원기간에 있어서는 정상분만의 경우 평균 입원기간이 초산은 2.6일, 경산은 2.4일로 초산이 경산보다 약간 길었으며 어떤 병원에서는 3.5일로서 약간 긴 경우도 있었으나 대체로 비슷한 양상이었다. 제왕절개 분만에 있어서는 평균 입원기간이 초산 7.5일, 경산 7.6일로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의료기관에 따라 가장 짧은 것은 6.5일에서 가장 긴 것이 9.4일로 차이가 났다. 평균 입원비는 일반환자인 경우 정상분만의 초산 비용은 182,100원이었고, 경산은 167,300원이었다. 의료보험인 경우 본인 부담액이 초산은 82,400원, 경산은 75,600원이었으며 제왕절개분만은 일반환자 초산인 경우 946,500원, 경산은 753,800원이었고, 의료보험인 경우 초산은 256,200원, 경산은 253,700원이었다. 대학병원간에도 정상분만 비용이 268,000원과 350,000원으로 큰 차이를 보이며 제왕절개 분만의 경우에도 각 의료기관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에 따라 정상분만과 제왕절개분만시 임상병리검사, 투약 등에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입원기간에도 차이가 있어 결과적으로 의료비에도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어떤 기관에서는 포괄수가제를 적용하고 있는 곳도 있었다. 따라서 적정의료 제공을 위해 진료의 내용을 어느 정도 표준화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