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check{o}$nsu Bay

천수만 식물 플랑크톤의 공간적, 시간적 변화

  • Shim, Jae Hyu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eo, Hwan Goo (Department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1988.07.06
  • Accepted : 1988.09.01
  • Published : 1988.10.20

Abstract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population were investigated in Ch$\check{o}$nsu Bay, the Korean western coast. Diurnal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 are associated with semidiurnal tidal cycle, as high concentration at low tide and low at high tide. In monthly variations of phytopolankton standing crop, the 1st peak occurrs in March and the 2nd one in Augus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 outer bay and inner bay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 biologic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phytoplankton distribution patterns. The northern waters of the bay, however, may be affected by irregular fresh water influx through the lock of the dike. Because of the hydrographical differences among the surveyed stations, phytoplankton species succession patterns of each station have some differences. On the whole in this study area, Paralia sulcata and Skeletonema costatum are dominant species all the year round. However, except June, Paralia sulcata, a tychopelagic diatom is not dominant species at Station 6 (northern end of the bay). This seems to be caused by the fact that the waters of northern part of the bay is less turbulent than that of the outer bay.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indicates that Ch$\check{o}$nsu Bay is normal coastal ecosystem wher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cycled in a year, and water temperature and nitrogenous nutrients such as nitrate, nitrite and ammonia are major factors to influence the annual cycl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천수만 식물 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와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양상이 1985년 9월부터 1986년 8월까지의 기간동안 조사되었다.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반 일주조의 조석주기에 따라 변해 간조시에 만조시보다 높은 양을 나타내며,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화는 3월에 1차 대발생이 일어나고 8월에 2차 대발생을 보인다. 본 해역은 해수의 수온 및 염분 등 물리적 요인과 식물 플랑크톤의 분포양상으로 볼 때 외만(outer bay)과 내만(inner bay)의 두 수역으로 나누어진다. 외만 수역은 외양수의 영향에 의해 수괴 혼합이 활발한 반면 내만 수역은 외안보다 비교적 정체된 모습을 나타낸다. 그러나 만 북단의 수역은 방조제 수문을 통한 비정기적인 담수유업에 영향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된 정점들 간의 수리적 차이 때문에 각 조사정점에서 식물 플랑크톤의 천이양상 또한 차이가 보인다. 전반적으로 본 해역에서는 Paralia sulcata와 Skeletonema costatum이 년중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으나 일시성 부유 규조류인 Paralia sulcata는 정점 6(만 북단의 정점)에서 6월을 제외하고는 우점종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만 북단의 수역이 외만에 비해 수괴혼합이 덜 이루어지는 비교적 정체된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결과는 천수만 해역의 환경조건이 년중 순환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본 해역이 정상적인 연안 생태계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천수안내 환경조건의 순환을 주도하는 주요 요인은 수온과 질소계 영양염($NO{_3}{^-}$-N, $NO{_2}{^-}$-N, $NH{_4}{^+}$-N)인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