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A Further Evidence of Relict Sediments-

韓半島 南東海域 大陸棚 海底에서의 第四期 後期의 推積作用

  • Published : 1985.12.01

Abstract

Two hundred suspended-mat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during September, 1981, March, 1982 and April 1983. Superficial bottom sediments on the shelf were also taken. Based on the alalyses of TSM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patterns, it is considered that finegrained suspended matters are restricted to nearshore-inner shelf showing a band or zone paralleling with coastal morphology. This fact suggests a limitation of "modern" fine grained sediments to a nearshore and inner shelf band. The sand deposits with the lower value of mud content (<5%) adjacent to the shelf break and on the outer shelf would probably be "relict" sediments (old beach sediments) deposited in response to a lower stand of sea level during the Pleistocene ice age. The transgression did little to alter the distribution of sand on the outer shelf in this particular study area. The progress of shore line was so rapid that a given locality was in the beach zone and subject to rapid longshore drift and extensive reworking only for a few years. Probably the most pronounced effect of the transgression was sorting of the sand, and at least partial winnowing out of the finer fractions.

1981년 9월, 1982년 3월 및 1983년 4월에 한반도 남동해역 대륙붕에서 표층퇴적물과 부유물표품을 채취하였다. 부유물 함량 분포에 의하면 세립한 부유물질은 연안의 내 대륙붕에 국한되어 연안에 평행하게 대상으로 분포하여 현생의 세립퇴적물이 내 대륙붕 지역에 국한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외 대륙붕과 붕단에 분포하는 사질퇴적물은 니질 함량(<5%)이 매우 낮다. 이러한 조립질 퇴적물은 해수면이 낮았던 (약 -152m${\pm}$) 플라이스토세 (Pleistocene) 빙기에 집적된 "잔류"퇴적물(고해빈퇴적물) 로 사료된다. 현세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침현상이 일어나고 해안선의 전진이 빠르게 일어나게 되어 외 대륙붕의 사질물질이 재 분포 되는 경우가 대단히 약하였으며 일시적으로 강한 연안류 등에 의해 현지성(in situ) 재동작용을 받았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침현상에 따른 가장 큰 영향은 사립물질의 분급작용이 가속된 것이고, 최소한 세립물질이 제거 (winnowing out)되는 작용이 일어났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