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Plankton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II) Phytoplankton -Standing crop, nanofraction, and primary production-

東海 西南 海域의 플랑크톤 硏究(II) 식물플랑크톤-현존량, 미세플랑크톤 및 1차 생산-

  • 심재형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이원호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박상윤 (한국해양대학)
  • Published : 1985.12.01

Abstract

A description of the "phytohydrography"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the East Sea is given from concurrent measurement of temperature, chlorophyll-a, nutrients, and phytoplankton and also from the calculated primary production during the two cruises in May and October, 1984. Past history of water mass is relatively well reflected in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species, but such a reflection is rarely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parameters in general. Upper layer of the waters around Ul-gi and Gampo is typically characterized by the high chlorophyll-a, high primary production, and low nanofraction ratio due to the continuing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nutrient-rich cold water underneath. Water of Tsushima current shows poor standing crop in terms of cell numbers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extremely high nanofraction ratio, and very low primary production. The overwhelming importance of the nanofraction is confirmed in phytoplankton cell numbers, chlorophyll-a concentration, and possibly enough in primary production. This emphasizes the exceptionally strong inflow of warm water into the study area from south among all the waters around the whole Korean peninsula.

1984년 5월과 10월, 2회에 걸쳐 동해 서남 해역에서 조사한 수온, 클로로필-a, 영양염, 식물플랑크톤 및 일차생산에 관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대산 수역의 phytohydrography를 논의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별 양적분포로 부터 특성 해수의 이전 환경을 추측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해양물리${\cdot}$화학적인 자료만으로는 기대하기 어려운 결과였다. 울기 및 감포 부근 해역의 상층부에서는, 그 하층에 근접한 냉수로 부터 영양염을 공급받아, 높은 일차생산력, 높은 클로로필-a 및 낮은 미세플랑크톤 비율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반면에 대마난류수에는 매우 낮은 일차생산력, 빈약한 현존량 및 극히 높은 미세플랑크톤 비율 등의 특징이 나타나 좋은 대조를 이루었다. 연구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세포수 뿐만 아니라 클로로필-a 및 일차생산량에서도 미세플랑크톤이 압도적으로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반도 전해역 가운데 난류수가 예외적으로 강하게 유입되는 연구해역의 생물해양학적 특성을 잘 반영해 주는 현상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