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最近)의 비료소비면(肥料消費面)에서 본 비료수요전망(肥料需要展望)

Prospects of Fertilizer Demand based on Recent Consumption

  • 발행 : 1976.09.30

초록

우리나라는 경지당인구(耕地當人口)가 많기 때문에 급증(急增)하는 인구(人口)와 이것에 대처(對處)하는 식량문제(食糧問題)는 지식인(知識人)의 최대관심사(最大關心事)이며, 오늘날 우리는 수량(收量)이 높은 신품종(新品種)으로 녹색혁명(綠色革命)을 굳게 다짐하고 있으나 다수확(多收穫) 품종(品種)의 이점(利點)은 시비량(施肥量)의 증가(增加)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녹색혁명(綠色革命)을 이룩하기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많은 비료(肥料)가 필요(必要)하다. 비료(肥料)의 소비량(消費量)은 주(主)로 농업기술(農業技術)의 발달, 비료(肥料)의 가격(價格), 식량증산(食糧增産)을 위한 정부(政府)의 시책(施策) 등(等)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으나, 비료(肥料)의 수요량(需要量)은 농민(農民)에 의하여 쓰여지는 비료량(肥料量)이 아니라 농작물(農作物)의 생산(生産)을 위하여 실제(實際) 필요(必要)한 최적(最適)의 비료량(肥料量)이다. 그러므로 동란(動亂)이나 자원고갈(資源枯渴)과 같은 특별(特別)한 변동(變動)이 없는 한 우리나라의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은 2000년대(年代)에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의 한계(限界)에 도달(到達)하리라고 생각(生覺)된다. 여기서 두가지의 방만법(方万法)으로 장래(將來)의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을 추정하였다. I. 과거(過去) 10년간(年間)(1966~75)와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에 근거(根據)한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 : 과거(過去) 10년간(年間) 우리나라의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는 년평균(年平均) 8.7%였으며 (표(表) 1) 최근(最近) 수년간(數年間)의 삼요소소비비율(三要素消費比率)은 균형시비(均衡施肥)에 가까와지고 있고, 경지당(耕地當) 시비량(施肥量)도 다른나라보다 많으므로(표(表) 5) 앞으로의 비료소비추세(肥料消費趨勢) 약간 둔화(鈍化)될 것으로 추산(推算)되며, 년도별(年度別) 증가율(增加率)이 1980년(年)까지는 7%, 그후(後) 1990년까지는 2.5%, 그후(後) 2000년(年)까지는 1.5%씩 각각(各各) 증가(增加)되어 비료(肥料)의 총수요량(總需要量)은 1980년(年)에 1,208,000M/T, 1990년(年)에 1,547,000M/T, 2000년(年)에 1,795,000M/T으로 추정(推定)된다(표(表) 16). II. 작물별(作物別)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에 근거(根據)한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 과거(過去) 12년간(年間)(1965~76)의 주요작물별(主要作物別)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의 추이(推移)는 작물(作物)에 따라 0.94배(培)에서부터 5.49배(培)까지 증가(增加)하였으며(표(表) 7), 1976년도(年度)의 작물별(作物別) 비료수요량(肥料需要量)(표(表) 11)은 표준시비추천량(標準施肥推薦量)(표(表) 8)보다 낮다. 따라서 농작물(農作物)의 생산성(生産性)을 높이기 위하여 장래(將來)의 비료시용량(肥料施用量)은 증가(增加)되어야하며 비료(肥料)의 총수요량(總需要量)은 1980년(年)에 1,229,000M/T 1990년(年)에 1,489,000M/T 2000년(年)에 1,895,000M/T으로 되리라고 추정(推定)된다.(표(表) 16).

In Korea, the ever-increasing population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and the decreasing of cultivated lard area per person has become a major concern. Therefore, today we are implementing a green revolution using miracle varieties which require more fertilizer. The increased use of fertilizer along with development and adoption of high yielding varieties is the key to carrying out this green revolution. Fertilizer consumption in Korea is mainly influenced by agricultural techniques, fertilizer prices and government policies for increasing food production. If there are no special change, such as a cataclysm or an exhaustion of resources, it is quite clear that the fertilizer demand will increase to the near maximum ceiling point of optimum levels for crops in the year 2000. Fertilizer demand is not the amount of fertilizer that will be used by the farmer, but the actual optimum amount of plant nutrients required for maximum production. In this report, two alternative strategies are consideded in forecasting the future feitilizer demands. Alternative I is projected by reviewing consumption amounts over the last 10 years (1966~75) in Korea. The annual rate of increase in fertilizer consumption for the last 10 years was approximately 8.7% (table 1). Plant nutrient consumption rates in later years have been more balanced, and also fertilizer consumption per total acreage is considerably higher in Korea than in other countries (table 11), consequently the rate of increase in the future is expected to decline. Looking at the long term projections, the average annual rate of increase is expected to be 7% for 1976~80, 2.5% for 1981~90, 1.5% for 1991~2000. Thus, total projected fertilizer demands are estimated at 1,208,000M/T by 1980, 1,547,000M/T by 1990, 1,795,000M/T by 2000 (table 16). Alternative II is based on projected optimum fertilizer levels for crops and on increased crop acreage. The government recommended fertilizer rate has increased by a factor of 0.99 to 5.49 over the past twelve years depending on the specific crops (table 4). Levels of fertilizer demand recommended by government (table 7) in 1976 are still low compared with actual optimum fertilizer demands for crops (table 5). Therefore, future incaeases in fertilizer usage are anticipated. Thus, total projected fertilizer demands are estimated at 1,229,000M/T by 1980, 1,493,000M/T by 1990 and 1,898,000M/T by 2000(table 16).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