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OF OYSTER FARMAING AREA NEAR CHUNGMU

충무부근 굴 양식어장의 환경에 관하여

  • LIM Du Byung (Tong-yeong Fisheries Junior Technical College) ;
  • CHO Chang Hwan (Tong-yeong Fisheries Junior Technical College) ;
  • KWON Woo Sup (Tong-yeong Fisheries Junior Technical College)
  • Published : 1975.06.01

Abstract

Oceanographic conditions of the coastal water around Chungmu, one of the most important oyster farming areas in Korea, were studied from May to November in 1974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influence to oyster farming. Six localities, Goseong Bay, Jaran Bay, off Saryangdo, Hansilpo, Tong-yeong Bay and Juklimpo were selected for monthly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biological sampling. Flood current running westward brings saline water from the south-east and ebb current brings the low salinity water of Jinju Bay into this area. The waters in Juklimpo, Hansilpo and Tong-yeong Bay are slightly cooler and more saline than the waters in Goseong Bay, Jaran Bay and off Saryangdo.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s lowest in September and Hansilpo has the least oxygen during summer. Silicate content is lower in waters of Tong-yeong Bay, Juklimpo and off Saryangdo than those of Goseong Bay, Hansilpo and Jaran Bay. Suspended matter in this area ranges from 7.4 to 16.6 mg/l and scarce in Jaran Bay, Juklimpo and off Saryangdo. Chlorophyll a shows large seasonal variation and local fluctuation.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reveal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s of Goseong Bay, Jaran Bay and off Saryangdo and the waters of Hansilpo, Tong-yeong Bay and Juklimpo. The growth of oyster was good in Juklimpo, Tong-yeong Bay and Goseong Bay and worst in Hansilpo. The highest mortality was observed $82\%$ in the waters off Saryangdo.

충무부근의 굴 양식어장에 대한 해황특성을 규명하고 양식장의 환경조건이 굴 양식에 어떻게 영향은 미치는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충무부근의 6개 해역은 선정하여 1974년 5월부터 11월까지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무부근 해역의 유동은 주로 조류로서 창조류는 서쪽으로, 낙조류는 동쪽으로 흐르는데 창조시에 거제도 남단으로부터 외해수의 유입, 낙조시 삼천포 수도로부터 진주만의 저염수 황산이 가능하며 견내양해협을 통한 진해만 해수의 영향은 적다. 2. 수온은 전해역에 큰 차이가 없으나 죽림포와 통영만이 약간 낮다. 염분은 죽림포와 통영만이 높고, 사양도해안, 자란만, 고성만 등이 낮았다. 유동과 수온, 염분 분포로부터 통영만, 죽림포의 해수와 사양도 연안, 자란만, 고성만의 해수는 상당히 이질적이고 한실포는 경개해역으로 통영만수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3. 용존산계량은 5월에 많고 점차 감소하여 9월에 최소인데 해역별로는 여름철 한실포가 가장 낮다. 규산염는 외해수의 영향을 받는 사양도 연안, 통영만, 죽림포에 적고 고성만, 한실포, 자란만에 많았다. 4. 현탁물은 $7.4\~16.6mg/l$의 량이었는데 자란만, 죽림포 및 사양도 연안에는 적었다. chlorophyll a는 심한 연절변동을 하는데 5,9 및 10월에 높고, 6, 7, 8 및 11월에 낮았다. 해역별로는 심한 기복을 보였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조성에 있어서 고성만, 자란만 및 사양도 연안 해역과 한실포, 통영만, 죽림포 해역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5. 6개 해역중 굴의 성장이 가장 나쁜 곳은 한실포이며 다음이 사양도, 자란만의 순이었고 고성만, 통영만, 죽림포는 성장이 좋았는데 그 경향이 비슷하였다. 굴의 폐사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사양도의 $85\%$이었고 다음이 자란만의 $41\%$인데 그외 해역은 $20\%$ 이내로 큰 차가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