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pacing on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 Characters in Three Different Types of Soybean Canopy

대두의 모형에 따른 재식밀도가 종실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 권신한 (한국원자력연구소 (응용유전학연구실)) ;
  • 안용태 (서울여자대학) ;
  • 김광래 (경희대학교 산업대학) ;
  • 은종선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 Published : 1973.11.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um canopy type for dense planting with three soybean varieties possessing different types of canopy. The experimental plots were arranged in split-split plot design. Branches and pods per plant were both reduced by close planting, particularly keen responses were observed in the variety Clark. Number of nodes per plant seems a characteristics of each variety and was independent character from the plant height. Clark, tall variety, was most resistant to lodging and it may be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stem. Seed yields of Jangdan-Baikmok, branching type, tended to be lower at the dense spacing, whereas, branchless type variety Clark was higher in seed yield at the dense plant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nt type possessing more nodes and less branching per plant with be suitable for dense planting.

우리나라 대두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제외국에 비해 낮은 편이며 그 원인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단시일내에 기존품종으로서 생산량을 높이는데 대두 초형에 따르는 재식방법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여겨져 중부지방에서의 밀식적응대두형과 밀식정도의 구명을 위해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모형과 각종 형질이 서로 상이한 품종인 장단백목, 충북백, Clark 등 3개 품종이 공시되었으며 휴폭을 세구로 그리고 주간거리를 세세구로 한 3반복으로서 시험하였다. 주당 분지수와 협수는 밀식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동일한 밀도에서는 Clark에서 보다 충북백과 장단백목에서 더 많은 분지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협수에 관해서는 휴폭과 주간거리에 유의한 수준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절수는 품종간에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휴폭에 의해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으며 주간거리가 커짐에 따라 Clark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간장도 주간거리에 관해서만 유의차가 현저하였으나 절수의 증가와는 관계없이 도장에 기인하였다. 도복성에는 Clark가 가장 강했으며 이는 이 품종 주경의 탄력성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밀식조건하에서는 다지성이고 광엽성인 재래품종들보다 절수가 많고 초장이 큰 도입품종 Clark가 공시된 3개 품종중 가장 수량이 많았으며 밀식재배용으로의 가장 알맞은 초형임이 명확하였고 파종은 재래식 점파보다는 조파로 밀식함이 노력이 절약되고 단위면적당 수량도 현저히 증가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