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wth Characteristics of Diabelia spathulata Siebold & Zucc. Population, a Rare plant in Korea

희귀식물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의 생육 특성

  • Jeong Gul Jang (Department of fore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ung-Tae Yu (Team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 Byung-Do Kim (Team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 Myung-Hoon Yi (Team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 Hye-Yeon Kwon (Team of Education and Research, Daegu Arboretum) ;
  • Chae-Sun Na (Section of Seed Vitality Research,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
  • Da-Hyun Lee (Team of Seed Storage Research,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
  • Ki-Ho Kang (Department of Baekdudaegan Conservation,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 장정걸 (경북대학교 임학과) ;
  • 유성태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 김병도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 이명훈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 권혜연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 나채선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야생식물종자연구실) ;
  • 이다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종자저장연구팀) ;
  • 강기호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보전부)
  • Published : 2021.04.29

Abstract

경남 양산의 천성산에서만 생육하는 산림청·국립수목원 지정 희귀식물(Critically Endangered, CR) 주걱댕강나무 개체군을 대상으로 20개소의 방형구(10×10m, 100m2) 내 개체의 특성(개체수, 개화, 결실 등), 종자의 활력검정,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우리나라 전역의 생육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20개소의 대상지에서 확인한 개체수는 총 3,270개체이며, 평균 개체밀도는 1.635/m2이다. 평균 수고는 1.1m 정도이며, 평균개화율은 27.37%이고 개화는 1.0~1.8m(평균수고 1.39m) 수고에서 집중되었다. 한편, 결실률은 평균 1.67%로 매우 낮았다. 종자의 크기는 평균 너비 0.27mm, 높이 0.18mm 정도로 너무 작아 X-ray 촬영을 통한 충실검정은 확인할 수 없었다. 종자를 1% Agar배지에 종자를 치상한 후 온도조건(15, 20, 25℃)에 따른 실험 및 온도(15, 20, 25℃)와 GA3 농도(100, 250, 500PPM)처리 실험 모두 발아율은 0%였다. 결실률이 매우 낮고, 종자 발아율 또한 낮으며 지하경을 뻗는 특성으로 보아 종자는 휴면종자이며 영양생장을 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처리에 따른 생육 특성 실험 결과, 신초는 평균 30.6mm 성장, 엽록소 평균 함량 25.30, 잎의 수 평균 8.32개, 잎 길이 평균 35.93mm, 잎 폭 평균 20.37mm정도 성장하여 엽면적은 평균 761.10mm로 나타났다. 생육은 조도계를 활용한 실 차광률로 볼 때, 67.8% > 82.8% > 88.2% > 43.2% > 91.9%의 순서로 나타났다. 주걱댕강나무 자생지 내 수관열림도가 21.86%로 이를 차광률로 환산할 경우 70%내외의 차광률에서 생육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기후대별로 5개소에 이식한 주걱댕강나무는 이듬해까지 모두 생육이 원활하였다. A. spathulata를 Diabelia ionostachya종들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진다는 연구에서 D. ionostachya 샘플은 위도상 강원도 고성군에 속하고 있어 우리나라 대부분 지역에서 식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의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적응사업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