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f Type Characteristics of Prunus mume (201 Trees) in Korea

매실나무 201점의 엽형 특성

  • Hee Kyoung Kang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in Hyuk Kim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 Yeon Yi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Eun Su Ju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Min Kyung Choi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In Cheol Baek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Tae Hyun Ha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ong Seon Song (Departmen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공주대학교 포장에 보존되어 있는 식용, 약용, 관상용 등의 매실나무 유전자원에 대한 외부 형태적 특성평가를 통하여 향후 우수한 종자원 확보와 양묘생산의 토대 및 육종을 위한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매실나무의 엽형은 난형에 가까웠는데, 엽장은 평균 76.9±9.7mm (최소 52.0mm, 최대 102.0mm)이었으며, 엽폭은 평균 41.9±6.4mm (최소 27.0mm, 최대 60.0mm)이었고, 엽병장은 평균 9.5±2.6mm (최소 4.0mm, 최대 24.0mm)이었다. 이들 형질의 변이계수는 엽병장이 27.7%로서 가장 높아 엽장과 엽폭에 비해 진폭이 컸으며, 다음으로 엽폭 (15.3%), 엽장 (12.6%) 순이었다. 매실나무 엽장은 71~8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50.3%)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81~90mm (21.9%), 61~70mm (12.4%), 91mm 이상 (8.0%), 60mm 이하 (7.4%) 순이었다. 엽폭은 41~5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45.8%)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31~40mm (41.8%), 51mm 이상 (7.4%), 30mm 이하 (5.0%) 순이었다. 엽병장은 6~10mm에서 가장 높은 비율 (72.6%)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11~15mm (22.4%), 16mm 이상 (3.0%), 5mm 이하 (2.0%) 순이었다. 엽형 형질 간의 상관계수는 모두가 0.2 이하로 상관관계가 약하였으나 표본수가 많아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엽장과 엽폭이 0.2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엽장과 엽병장 (0.173), 엽폭과 엽병장 (0.001) 순이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농업생명자원관리기관운영사업 (과제번호 G2401520601202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