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Container Size on Seedling Growth of Quercus acutissima

상수리나무 유묘 생장에 미치는 용기 크기의 영향

  • Hee Kyoung Kang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u Ji Choi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e Hyeok L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un Su Lim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In Sik Jo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eon Ho Jang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wang Jae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ong Seon Song (Department of Plant Resour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본 연구는 식용, 목재용, 가구용 등 유용한 상수리나무의 효율적인 양묘를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용기의 종류에 따른 유묘 생장을 측정하고 조사하였다. 용기별 유묘의 엽수는 15구가 18.6개로서 24구의 18.5개보다 많았고, 엽건물중은 15구가 2.41g으로서 24구의 2.24g보다 가벼웠다. 줄기길이는 15구가 33.5cm로서 24구의 34.6cm보다 짧았고, 줄기직경은 15구가 4.48mm로서 24구의 4.77mm보다 좁았으며, 줄기건물중은 15구가 1.40g으로서 24구의 1.53g보다 가벼웠다. 뿌리길이는 15구가 39.2cm로서 24구의 49.1cm보다 짧았고, 뿌리건물중은 15구가 7.60g으로서 24구의 6.92g보다 무거웠다. 그리고 식물체건물중은 15구가 11.4g으로서 24구의 10.7g보다 무거웠다. 지상부와 지하부 (S/R) 비율은 15구가 0.50으로서 24구의 0.55보다 낮았다. 이와 같이 재배 용기의 크기에 따른 상수리나무 유묘의 생장은 여러 생장 측정 중 뿌리길이를 제외하면 T-검정에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렇게 보면 상수리나무는 용기 크기와 유묘 생장의 상관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본 실험에서 노천매장 종자의 파종상 유묘를 선별하여 이식할 때 물리적 손상이 있을 수 있어 추후 추가적인 보완 실험이 필요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