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eld and Fruit Quality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as Affected by the Length of Fruit Bearing Mother Branches in T-Trellis Cultivation

T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결과모지 전정 길이에 따른 수확량 및 열매 특성 분석

  • Jiae Seo (Div. of Special Forest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Hanna Shin (Div. of Special Forest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Moon Sup Kim (Div. of Special Forest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Young Ki Kim (Div. of Special Forest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Jeong Ho Song (Div. of Special Forest Product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서지애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 신한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 김문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 김영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 송정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소득자원연구과)
  • Published : 2020.08.14

Abstract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재배되고 있는 다래(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의 재배유형이 T덕형과 평덕형으로 나누어지고, 덕 형태 및 품종에 따라 다래의 생육 양상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모지 길이를 15cm 길이의 단일한 형태로 전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T덕형을 활용한 다래 재배에서 품종별로 수확량을 증대하면서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정한 결과모지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한 '새한', '대성' '칠보' 및 '오텀센스' 등 4품종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모지 길이가 15, 30 및 50cm가 되도록 전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한 후 수확기인 9월에 수확량 및 열매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품종과 가지수, 결과지의 수와 미결실지 수, 열매 무게, 총 수확량 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정 길이에 따라서는 총 착과 수, 열매 무게 및 총 수확량에서 차이가 있었다. 모든 품종에서 결과모지 길이가 길어질수록 총 수확량은 증가하였으며, 총 수확량은 품종에 따라 2~7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모지 전정은 '새한', '대성' 및 '오텀센스'는 50cm 전정에서 칠보는 30cm 전정에서 생산량 및 품질특성이 우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