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dequacy Analysis of Korean MVNO Policy

MVNO 정책의 타당성 분석

  • Published : 2014.10.28

Abstract

In Korea MVNO was introduced in 2011 when twenty seven years had passed since Korea Mobile Telecom started mobile phone service in 1984. Whithout having its frequency bands and network facilities MVNO can resell the mobile telecom services to the consumers by purchasing MNO's service. That can bring competition more efffective that can lower communication costs through the alternatives. In the early 2000s,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MVNO has been raised already by scholars in Korea. But it wasn't until the late 2000s, rate cuts appeared to be a major policy issue, and in 2011 Korean government begin to try to introduce its own MVNO's. In may 2014, MVNO's mobile communication market share reached 6%, but Korea dose not have a firm system yet. However, if government authorities did not insist 3 mobile telecom companies system and recognize global MVNO flow quickly the national cost w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mean time mobile telecom companies have maintained similar billing system and level of service but competed to attract consumers only. It looks like some level of mutual collision and the government cannot help recognizing the situation but it did not do any effective policy improvement effort and government only levied penalties.

우리나라는 1984년 휴대 전화 서비스를 개시한지 27년이 지난 2011년이 되어서야 MVNO를 도입하였다. MVNO는 주파수 대역과 네트워크 기반시설을 보유하지 않고도 MNO의 서비스를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재판매할 수 있다. 이는 설비비용을 절감하면서도 경쟁을 통하여 통신비용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미국,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도입되었고 우리나라도 학계에서 2000년대 초반 이미 MVNO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런데 2000년대 후반 되어서야 통신비 인하가 주요 정책이슈로 등장하면서 2011년 이후 정부는 나름대로 MVNO의 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2014년 5월에는 MVNO의 이동통신시장 점유율이 6%에 이르고 있으나 아직 확고한 시스템을 정립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당국이 이통3사 체제만 고집하지 않고 세계적인 MVNO 흐름에 대하여 조기에 인식하고 신속하게 도입하였다면 국가적 비용이 저감되고 국민의 부담도 크게 줄어들었을 것이다. 그동안 이동통신사들이 요금체계와 서비스 수준은 거의 유사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객유치에만 치중해온 사실상의 담합행위가 지속되는 상황임을 모를 수 없는데 과징금을 부과하는 것 외에 실질적인 정책적 개선노력이 거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