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14.02a
- /
- Pages.374-374
- /
- 2014
상부 Au 전극 면적 Size에 따른 PbI2 필름의 전기적 특성 평가
- Myeong, Ju-Yeon ;
-
Park, Jeong-Eun
;
- Kim, Dae-Guk ;
-
Kim, Gyo-Tae
;
-
Jo, Gyu-Seok
;
-
O, Gyeong-Min
;
-
Nam, Sang-Hui
- 명주연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박정은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김대국 (인제대학교 의료영상과학) ;
-
김교태
(인제대학교 융합의과학) ;
-
조규석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오경민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
남상희
(인제대학교 의용공학과)
- Published : 2014.02.10
Abstract
의료용 X-ray는 과거 analog 방식과, 연구가 진행 중이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digital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최근, 광도전체와 형광체 기반의 flat panel X-ray detector의 발전에 따른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발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flat panel X-ray detector 검출방식은 direct method (직접 방식)와 indirect method (간접 방식)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상용화 되어있는 amorphous seleinum (비정질 셀레늄)의 큰 일함수에 의한 저 해상력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작은 일함수를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여, 영상을 얻을 시에 높은 해상력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을 사용하여 X-ray 흡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기존 direct method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amorphous seleinum 기반 digital X-ray detector가 아닌, 이러한 장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PbI2 물질 층을 사용하여 시편을 제작 하였다. PbI2를 같은 두께로 올린 후, 물질 층 상부에 Au 전극 면적을 다른 size로 제작한 시편으로 X-ray에 노출 시켰다. 이는 상부 전극 size 차이에 따른 신호 차이를 측정하여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전도성을 띠고 있는 ITO (Indium - Tin - Oxide) glass를 이용하여 screen printing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PbI2층을 약 160~180 um두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