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brid Rocket Instability II

하이브리드 로켓 불안정성 II

  • 이정표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
  • 이선재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
  • 김영남 (바람과 소리(주)) ;
  • 문희장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
  • 성홍계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
  • 김진곤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 Published : 2012.05.17

Abstract

In this paper, the combustion instabilities which may occur in the hybrid rocket were studied. The rocket combustor where the vortexes can be generated was designed, and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he investigations about characteristics on the presence of the diaphragm, the length of the fuel, the diameter of the fuel port, the diameter of the diaphragm, the diameter of the nozzle throat, and the variation of the Ox massflow rate were conducted. The main resonant frequency of the combustion pressure is regarded by the Vortex shedding mod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other resonant frequency of the pressure fluctuation is hybrid low frequency, or helmholtz mode.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로켓 불안정성 I'에 이어 하이브리드 로켓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소불안 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기 내부에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연소기를 설계하여 연소시험을 수행하였고, 연소실 압력 공진 주파수의 다이아프램 유 무에 따른 특성, 연료 길이에 따른 특성, 연료 포트 직경에 따른 특성, 다이아프램 직경에 따른 특성, 노즐목 직경에 따른 특성, 산화제 유량 변화에 따른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소실 압력 공진 주파수는 Vortex shedding으로 판단되며, Hybrid low frequency와 Helmholtz mode가 또다른 공진주파수 인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