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교통정보시스템 발전 방향

The Development Trend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through Transportation Card Data

  • 김세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물류) ;
  • 손무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물류) ;
  • 민재홍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물류) ;
  • 오석문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물류)
  • 발행 : 2011.05.26

초록

1996년 서울 고덕동~상일동 구간 시내버스에 교통카드 시범실시 이후 다년간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으로 현재 수도권 대중교통 승객의 교통카드 이용률이 90%를 넘어서고 있다. 현 상황에서 국내 및 국외의 교통정보시스템은 도로운영 및 제어, 실시간 정보 제공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존의 교통정보시스템과 차별화되는 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교통정보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활성화되어 있는 국내 및 국외사례를 중심으로 각 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통정보시스템을 비교/분석하여, 교통카드자료 기반의 대중교통 정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의사결정지원 기능, 승객 통행정보에 대한 과학적 분석, 새로운 노선 구축에 대한 수요예측 및 변화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진화된 미래 교통정보시스템의 모습을 소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fter conducting demonstration of transportation card for bus from Godeok-dong to Sangil-dong in 1996, due to continuously support for public transportation, the transportation card utilization of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passengers is currently going beyond 90%. In the current situation,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is mainly focused on road operation and control, offer of real time information and research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which is differentiated by previous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is needed to study. This paper compare and analyze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which is being used to each country, based on foreign examples of activating use of transportation card then introduce figure of advanced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 decision making feature for improving policy and instit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based on transportation card data, scientific analysis of passenger information, information of demand forecasting, variation and so on for constructing new rout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