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랙탈 이미지의 미디어아트를 활용한 Water-Front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 Design of Water-Front using Media Art of Fractal Image

  • 발행 : 2009.05.29

초록

최첨단 과학 기술의 발달에 의해 영상의 영역은 타 영역간의 상호의사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었으며, 이러한 영역간의 교류는 영역간의 새로운 결합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발전과 함께 공공 디자인의 활성화로 인해 영상의 영역은 공공의 의미로 환경디자인의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 국내에서도 빛을 이용한 미디어아트를 water-front의 환경에 도입하여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인상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환경디자인 분야에서는 영상의 영역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지속적인 표현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다양한 표현 기법 개발연구를 위해 미디어아트 활용이 영상 표현 기법의 대안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By a development of high-advanced science technology, the area of image made inter-area's communication more actively. Such the inter-image exchange facilitated a new combination of areas. By such the development and the activation of public design, the area of image has been extended into the area of environmental design as the public meaning. According to this flow, the media art of using a light has been introduced in the environment of water-front in Korea. Hence, it enhanced the region's identity and gave a special impression to tourists. However, the study on the area of image in the Korean environment aldesign is still in sufficient. Accordingly, the constant expression development absolutely required. For develop ingand researching a variety of expression techniques, the utilization of media art is expected to work as the alternative of image expression techniqu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