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Context Recognition Based on Indoor and Outdoor Location and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for Visualization

실내 및 실외 위치 기반 사용자 상황인식과 시각화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 노현용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오세원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이진형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박창현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황금성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조성배 (연세대학교 컴퓨터과학과 소프트컴퓨팅 연구실)
  • Published : 2009.02.09

Abstract

Personal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 PMP and MP3 player have advanced incredibly. Such advance in mobile technology ignite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fe-log to understand the daily life of an user. Since life-log collected by mobile sensors can aid memory of the user,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his paper suggests a methodology for user-context recognition and visualization based on the outdoor location by GPS as well as indoor location by wireless-lan. When the GPS sensor does not work well in an indoor location, wireless-lan plays a major role in recognizing the location of an user so that the recognition of user-context become more accurate. In this paper, we have also developed the method for visualization of the life-log based on map and blog interfaces. In the experiments, subjects have collected real data with mobile devices and we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visualization and context recognition method based on the data.

핸드폰, PMP, MP3 플레이어 등으로 대표되는 개인 모바일 장치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런 모바일 환경의 발전은 사용자의 일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라이프로그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다. 즉, 모바일 장치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일상을 기록한 라이프로그는 복잡한 일상에 대한 기억 보조 도구로 사용가능하기에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PS에 의한 실외 위치뿐만 아니라 무선랜에 의한 실내 위치를 고려하여 상황을 추론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내에서 GP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더라도 무선랜을 기반으로 한 실내 위치 추정을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황 인식 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지도 인터페이스 및 블로그를 기반으로 하는 시각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에서는 모바일 장비를 가지고 실제 데이터를 수집한 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상황을 인식하고 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성능을 평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