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박동변이도 분석을 이용한 수면단계 분류

Classifying sleep stages by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김원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 박세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 장승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 장학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 최형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 이상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뇌인지융합기술연구단)
  • 발행 : 2009.05.22

초록

수면단계는 수면감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생리지표로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전통적 수면단계 분류방법은 뇌전도, 안전도, 심전도, 근전도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므로 수면단계를 비교적 정확히 분류할 수 있지만 피험자에게 심한 구속감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성상태에서 교감신경계가 지배적인 반면에 수면 중에는 부교감신경계가 더 활동적인 점에 착안하여 수면단계를 간단히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수면단계에 따른 심박동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분석하였다. 단일채널 심전도를 이용하여 수면단계별로 HRV 의 교감신경계/부교감신경계 활성도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W(wakefulness) 단계가 NREN(non REM) 2 단계, 3 단계, 4 단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NREM 4 단계는 REM(rapid eye movement) 단계와 NREM 1단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감신경계/부교감신경계 활성도 비율의 수면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은 W, REM, NREM 1, 2, 3, 4 단계의 순으로 단조 감소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