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로 오염된 군사기지의 복원 우선순위 결정 모델 연구

A Study on the Restoration Priority Decision Model of Oil Contaminated Military Sites

  • 발행 : 2000.05.01

초록

최근 군사기지에서의 환경복원활동은 미국과 독일 등의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차원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대적 위해성평가 기법을 이용하여 군사기지 복원을 위한 우선순위 결정을 지원함으로서,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가능하고 군에 적합한 타당한 모델이 개발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평가 대상은 군사기지 내에서 유류로 오염된 지역의 전 범위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모델은 유류오염물질 요소, 수용체 요소 및 이동경로 요소의 세가지 평가요소를 평가하여 총 27개의 메트릭스 칸에 각 평가요소의 위해등급을 상호 결합하여 판단함으로서, 종합적인 복원순위를 긴급·보통·유예로 나타냈다. 이는 최대한 간편한 평가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세가지의 등급으로 그룹화하여 평가한 것이다. 본 연구모델은 복원이 요구되는 지역에 대하여 자원의 배분을 위한 접근을 위해 군의 환경관리자는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적용 가능하다는 중요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발전적인 연구과제에서 본 연구모델을 시발점으로 지속적으로 보완된다면, 군의 위해성평가 체계의 정착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At military bases, environmental restoration activities resulting from oil contamination are growing concerns of preventing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environments. Its technologies are still under developing stage through some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Germany. This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model for a decision-maker to assist the restoration priority under the situation of limited resources such as budget and time. The Model, named the Base Restoration Priority Decision model(BRP model), is composed of the three factors : oil contaminants receptors, and the potential migration pathways. Each risk rating of factor is combined in the 27 matrix blocks and set immediate, moderate, and delayed action category designated restoration priority. This is categorized to group sites into three degree using the simplest of assessment system. As a result, the model will be able to apply to the effective allocation of resources for the restoration by any decision-maker because the model is easy to understand. Also, the continuous study will have established risk assessment system for the restoration of contaminated military with this study as the starting point.

키워드